본문 바로가기

BUDDHISM/無心님의 불교이야기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관계



사마타는 오감각과 생각을 멈추어 삼매를 닦는 수행이고 위빠사나는 오감각과 생각을 관찰하여 지혜를 닦는 수행이다. 좀 더 정확하고 소상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사마타는 호흡 등과 같은 한 가지 집중대상에 사띠(마음챙겨 알아차림)를 집중하여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오감각과 생각'을 멈추어 사마디/삼매를 닦는/계발하는 (선정 삼매에 드는) 수행이다. 한역 경전식 표현으로는 지止(멈출 止) 수행 또는 정定(사마디/삼매/定) 수행이라고 한다.

위빠사나는 사마타 후에 선정 삼매 상태에서 극대로 계발된 사띠(마음챙겨 알아차림) 능력을 사용하여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오감각과 생각'(달리 표현하면 오온 또는 신수심법)을 통찰(깊이 관찰)하여 빤냐/반야/지혜/통찰지혜를 닦는/계발하는 수행이다. 한역 경전식 표현으로는 관觀(볼 觀) 수행 또는 혜慧(지혜 慧) 수행이라고 한다.

'팔정도(정각에 이르는 여덟八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른正 길道; 정어·정업·정명·정정진·정념·정정·정견·정사유)를 닦는 수행, 즉 실라(계戒; 정어·정업·정명)•사마디(정定; 정정진·정념·정정)•빤냐(혜慧; 정견·정사유)를 닦는 수행'의 실實수행(실제 수행, 본격적인 수행)인 사마타(사마디/정定을 딱는 수행; 정행)와 위빠사나(빤냐/혜慧를 딱는 수행; 혜행)는 불교(부처님佛 가르침敎)를 대표하는 수행이다.

부처님은 팔정도를 닦는 수행(한문으로 계행戒行-정행定行-혜행慧行 또는 계정혜戒定慧 삼학三學, 고대인도어로 실라-사마타-위빠사나)은 연기(조건에 따른 상호의존) 방식으로 완성된다고 누누이 강조하셨다.

'연기(조건에 따른 상호의존) 방식의 수행'(쌍수雙修 또는 겸수兼修)인, 사마타(사마디/정定을 딱는 수행; 지止 수행)와 위빠사나(빤냐/혜慧를 딱는 수행; 관觀 수행)는 정각을 향해가는 한 쌍의 양 날개다. 이를 한역 경전에서는 '정혜쌍수定慧雙修 또는 지관겸수止觀兼修'라고 표현한다.

실라(실라戒를 닦는 수행; 계행)를 바탕으로 사마타(사마디/정定을 딱는 수행; 정행)가 계발(열리고 발전향상)되고, 사마타를 바탕으로 위빠사나(빤냐/혜慧를 딱는 수행; 혜행)가 계발(열리고 발전향상)된다. 발전향상된 사마타는 위빠사나를 더 발전향상시키고, 발전향상된 위빠사나는 사마타를 더 발전향상시킨다. 부처님이 누누이 강조하셨듯이, 사마타와 위빠사나는 이렇게 연기(조건에 따른 상호의존) 방식으로 완성된다.



맨 위로 맨 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