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가르침( 설법: 법法을 설명함 )
붓다Buddha는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를 뜻하는 고대인도어로 일반명사다. '고타마Gautama 붓다Buddha'(이른바 석가모니불)를 가리키는 고유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불佛 또는 불타佛陀'는 고대인도어 붓다Buddha를 중국어(한문)로 음사(음역)한 것이다. 우리말(한국어, 한글)로는 '부처'라고 음역한다.
법法은 붓다Buddha의 가르침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 또는 빠알리어 담마Dhamma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달마達磨는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를 중국어(한문)로 음사(음역)한 것이다. 그러면 깨달은 자, 붓다는 무엇을 깨달았나?
붓다는 법法을 깨달았다.
붓다는 법法을 깨닫고 나서 법法을 가르쳤다.
붓다의 가르침인 법法은 '깨달은 내용'(깨달음의 내용; 실상과 진리)과 '깨닫는 방법'(깨달음의 길, 즉 정각에 이르는 여덟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른 길인 팔정도를 닦는 수행)을 통칭한 것이다. 붓다가 가르친 '깨달은 내용'은 존재의 실상(실제 모습; 연기의 실상)과 진리(진실한 이치, 자연의 이치/법칙, 연기의 이치/법칙; 연기의 진리)다.
붓다는 실상(실제 모습)과 진리(진실한 이치)를 완전히 바르게 깨닫고 나서 언어란 실제가 아니라 실제의 근사치(개념)일 뿐임을 명확히 알았기 때문에 자신이 깨달은 내용(실상과 진리)을 사람들에게 어떻게 전할 것인가?, 즉 어떤 말(언어)로 어떤 용어와 표현으로 어떤 수준으로 어떻게 설(설명)할 것인가?를 매우 고심했다.
붓다는 소수의 지배계층이 사용하던 산스크리트어가 아니라 당시 붓다가 활동하던 갠지스강(항하恒河) 유역에서 대중(일반인 또는 민중)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던 고대인도 민중어인 마가다어(당시의 공용어 역할을 했던 마가다어는 당시 갠지스강 유역에서 가장 큰 국가였던 마가다국의 민중어)를 사용해서 듣는 사람의 수준(근기; 경험, 소질, 적성, 성향, 성격, 여러가지 능력-이해력, 인내력, 집중력.. 등등)과 처지(처한 환경과 상태)에 맞춰서, 비유적, 우화적, 시(게송)적, 문학적, 함축적, 서술적, 분석적, 종합적, 논리적, 과학적(=경험적+합리적) 표현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해서, 당시의 다양한 대중들(예컨대, 브라만 계급 ... 불가촉 천민 계급, 남녀노소 등)이 이해할 수 있도록, 법法('실상과 진리' 그리고 '팔정도와 팔정도를 닦는 수행')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수 많은 설법(설법; 법法을 설명함)을 했다.
그러나 마가다Māgadha어는 사장되었고 마가다어와 가장 (거의) 유사한 고대인도어가 빠알리Pāli어인데, 이 빠알리어가 후대 제자들이 붓다의 설법을 기록한 경전 모음인 니까야Nikāya를 기록하는데 사용되었다. 빠알리어는 붓다의 설법을 경전으로 기록하던 시대에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사용되던 고대인도 민중어였기도 하다. (참고로 2001년 기준으로 인도에는 총 3,372개의 언어가 존재하며 이중 10만 명 이상의 인구가 사용 중인 언어는 216개, 헌법이 인정한 지정 언어는 22개이다.)
붓다의 설법을 기록한 경전 모음인 니까야를 보면 붓다가 사용한 언어(용어와 표현)는 화려하고 장엄한 문체나 미사여구 없이 매우 소박하면서도 적확(=적절+명확)하다.
훗날 등장하는 금강경류, 화엄경류, 정토경류, 법화경류 경전들의 화려하고 장엄한 문체와는 확연히 구분된다.(이러한 점도 훗날 등장하는 이들 경전들이 붓다가 직접 설법한 것을 기록한 경전, 소위 불설 경전이 아니라는 반증이다. 또한 이들 경전들에는 '팔정도를 닦는 수행'에 대한 내용은 없고, 유명무실해진 용어로서의 팔정도는 어쩌다 가끔 등장한다)
언어는 지구상에 인류가 존재한 이래, 인간의 물질적 정신적 인식경험을 기호화(개념화)한 것이다. 언어는 실제가 아니라 실제의 근사치일 뿐이다. 실제에 가까운 것도 있지만 실제와 아주 먼 것도 있다. 붓다는 실상과 진리를 깨달은 후 이러한 점을 매우 잘 알았기 때문에 언어의 사용, 즉 적확(=적절+명확)한 용어와 표현의 사용에 매우 고심했다. 이것이 우리들이 붓다의 가르침(설법; 법法을 설명함)을 공부할 때 붓다가 사용한 용어와 표현을 왜곡없이 바르게 이해하고자 노력해야 하는 이유이다. 영어나 중국어(한문) 한국어(한글) 경전 등 번역된 경전을 읽을 때는 더욱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