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DDHISM/불교&명상 이야기

자비관(Mettaa) 수행



자비관 (Mettaa)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Universal Love 


아차리야 붓다락키따 ·지음

강대자행·옮김

Acharya Buddharakkhita


(The Wheel No.365/366)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차  례


들어가는 말 

필수 자비경 

자비경의 배경 

자비의 세 측면 

자비의 윤리 

자비의 심리학 

자비관 

자비가 주는 복 

자비의 힘 

편집후기 

  


지은이 붓다락키따 스님은 1956년 미얀마 양곤에서 열렸던 빠알리경의 완전결집을 이룩한 제6차 불교도회의의 결집진의 한 분이었다. 인도 태생인 그는 인도와 해외에서 많은 불교 활동을 펴고 있으며 저술과 역경에도 힘을 쏟고 있다.


또 명상의 대가로 국제적 명성을 누리고 있으며, 미국에 세운 불교수행명상협회 (Buddhayoga Meditation Society), 월간으로 편집 발행하고 있는  담마(Dhamma) 지 등은 그의 활동의 범위를 웅변하는 증거이다.


특히 인도의 불교부흥을 위해 힘쓰고 있는 그는 인도 방가로아의 마하보디협회 창설자 겸 회장이며, 그 외에도 다방면에 걸친 인도주의적 활동으로 큰 명망을 쌓고 있다. 그의 많은 저작활동 중 대표적인 것으로  법구경 의 영역본(BPS간행)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들어가는 말


빠알리어 메따(mettaa)는 자애, 우정, 선의, 동료애, 우호, 화합, 비공격적임, 비폭력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용어이다. 


빠알리 주석가들은 메따를 남들의 이익과 행복을 간절히 바라는 것(parahita-parasukha-kaamanaa)이라고 정의한다. 본질적으로 메따는 사랑과 우정이 넘치는 이타적 태도이며 이런 점에서 이기주의에 바탕한 단순한 우호적임과 구별된다. 메따 덕분에 사람은 공격적이기를 거부하고 가지가지의 신랄함과 원한과 증오심을 버리게 되며, 그 대신 남들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우정과 친절미와 인정이 있는 마음을 키우게 된다. 참다운 메따에는 이기심이 끼여들 여지가 없다. 그것은 또한 마음속에 따뜻한 동료애와 동정심 그리고 사랑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그 같은 감정은 수행을 거듭함에 따라 끝없이 확대되어 모든 사회적, 종교적, 인종적, 정치적, 경제적 장벽을 무너뜨리게 된다. 참으로 메따야말로 보편적이고 비이기적이며 일체를 포용하는 사랑이다.


사람들에게는 메따의 수행자야말로 안녕과 안전을 축복해주는 감로의 병(甁)이다. 어머니가 자식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목숨마저 버리듯이 메따는 역시 주기만 할 뿐 어떤 보답도 바라지 않는다. 자기의 이익을 채우려드는 것은 인간의 원초적인 본성이다. 이 본성이 남의 이익과 행복을 늘려주려는 소망으로 승화될 때 자기 본위의 근원적 충동이 극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의 이익을 전체의 이익과 동일시하게 됨으로써 그 마음은 보편적이 된다. 이러한 변화를 이룸으로써 사람은 자신의 안녕 또한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증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메따는 자식을 위해 온갖 고난을 감내하는 어머니의 그 한없이 인내하는 마음이며, 자식이 아무리 나쁜 짓을 저질러도 탓하지 않는 어머니의 그 끝없이 보호해주는 태도이다. 또한 벗의 행복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려는 친구의 그 마음가짐이다. 


이 같은 메따의 특성들을 자비수행(mettaa-bhaavanaa), 즉 보편적 사랑에 대한 명상을 통해 충분히 갈고 닦는다면 그 사람은 자신과 남들을 모두 지켜내고, 보호해주고, 치유할 수 있는 엄청난 내면적 힘을 반드시 얻게 된다. 


메따의 더욱 심오한 뜻은 뒤로하더라도, 메따는 당장 우리가 이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 반드시 실천하지 않으면 안될 필수적 덕목이다. 온갖 파괴적 성향들에 직면하고 있는 지금 같은 세상에서 아마도 유일하게 화합과 평화, 상호 이해를 가져올 수 있는 건설적인 수단이라면 그것은 바로 몸과 입과 마음으로 행하는 메따일 것이다. 메따야말로 모든 고등 종교의 근본교리를 이룰 뿐 아니라 인류의 복리를 증진시키려는 그 모든 인정 어린 행위의 기본 원리를 이루는 최고의 가치이기 때문이다.


이 작은 책은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메따의 여러 측면을 탐구해보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메따의 교리적, 윤리적 측면은 부처님의 `보편적 사랑의 찬가'인, <까라니야메따경(Kara.niiya Mettaa Sutta)> 의 연구를 통해 전개될 것이며, 이 주제와 관련하여 메따(지금부터는 자비 또는 경우에 따라 자애로 대신하겠다)를 다루고 있는 다른 간단한 경구(經句)들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보편적 사랑에 대한 명상, 즉 자비의 수행에 대한 설명은 상좌부(上座部, Theravada) 전통의 주된 명상교재인 <청정도론>, <해탈도론>, <무애해도>의 설명을 그대로 따랐으므로 자비관을 닦는데 실질적 지침이 될 것이다.


1. Kara.niiyaa Mettaa Sutta

   필수 자비경


1. kara.niiyam atthakusalena

   yam tam santam padam abhisamecca

   sakko ujuu ca suuju ca

   suvaco c'assa mudu anatimaanii 

   완전한 평정 상태를 언뜻 맛보고서 (바른길에 나아가고 고요한 경지에 이를려면)

   더욱 더 향상을 이루고자 애쓰는 사람은

   유능하고, 정직하고, 고결하고,

   말이 점잖으며, 온유하고, 거만하지 않아야 한다.


2. santussako ca subharo ca

   appakicco ca sallahukavavutti

   santindriyo ca nipako ca

   appagabbho kulesu ananugiddho

   만족할 줄 알아서, 남들이 공양하기 쉬워야 하며

   분주하지 않고, 생활이 간소하며,

   감관은 고요하고, 사려 깊을지니,

   속인들에겐 뻔뻔스러워서도 알랑대서도 안되리.


3. na ca khuddam samaacare ki~nci

   yena vi~n~nuu pare upavadeyyum

   sukhino vaa khemino hontu

   sabbe sattaa bhavantu sukhitattaa

   또한 현자의 질책을 살 어떤 행동도 삼가야 할지라.

   (그런 다음에 이와 같은 생각을 기를 지니)

   모두가 탈없이 잘 지내기를,

   모든 중생이 행복하기를!


4. ye keci paanabhuut' atthi

   tasaa vaa thaavaraa va anavasesaa

   diighaa va ye mahantaa vaa

   majjhimaa rassakaanukathuulaa

   살아있는 생물이면 어떤 것이건 

   하나 예외없이, 약한 것이건 강한 것이건,

   길건 크건 아니면 중간치건

   또는 짧건, 미세하건 또는 거대하건,


5. di.t.thaa vaa yeva aditthaa

   ye ca duure vasanti aviduure

   bhuutaa vaa sambhavesii vaa

   sabbe sattaa bhavantu sukhitattaa

   눈에 보이는 것이건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이건,

   또 멀리 살건 가까이 살건,

   태어났건, 태어나려하고 있건,

   모든 중생이 행복하기를!


6. naparo param nikubbetha

   naatima~n~netha katthacinam ka~nci

   byaarosanaa pa.tighasa~n~naa

   naa~n~nama~n~nassa dukkha iccheyya

   누구도 자기 동반을, 그것이 어디에 있든 간에

   속이거나 헐뜯는 일이 없게 하라.

   누구도 남들이 잘못되기를 바라지 말라.

   원한에서든, 증오에서든.


7. maataa yathaa niyam puttam

   aayusaa ekaputtam anurakkhe

   evampi sabbabhuutesu

   maanasam bhaavaye aparimaa.nam

   어머니가 자기 아들을, 하나뿐인 자식을

   목숨 바쳐 위해로부터 구해내듯

   만중생을 향한 일체 포용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지켜내라.


8. metta~n ca sabba-lokasmim

   maanasam bhaavaye aparimaa.nam

   uddham adho ca tiriya~nca

   asambaadham averam asapattam

   전 우주를, 그 높은 곳, 그 깊은 곳, 그 넓은 곳

   끝까지 모두를 감싸는 사랑의 마음을 키워라.

   미움도 적의도 넘어선

   잔잔한 그 사랑을.


9. ti.t.tham caram nisinno vaa

   sayaano vaa yaavat'assa vigatamiddho

   etam satim adhi.t.theyya

   brahmam etam viharam idhamaahu

   서거나 걷거나 앉거나 누웠거나

   깨어있는 한 이 (자비의) 염을

   놓치지 않도록 전심전력하라.

   세상에서 말하는 `거룩한 경지'가 바로 그것이다.


10.di.t.thi~n ca anupagamma siilavaa

   dassanena sampanno

   kaamesu vineyya gedham

   na hi jaatu gabbhaseyyam punaretii'ti 

   그릇된 생각에 더이상 매이지 않고,

   계행과 구경의 지견을 갖추었으며,

   모든 감관적 욕망을 이겨냈기에

   그는 다시 모태에 들지 않으리.


2. 자비경의 배경


부처님이 필수 자비경을 설하시게 된 동기는 아짜리야 붓다고샤가 쓴 주석서에 설명되어 있는데, 이 이야기는 부처님 시대부터 끊임없이 대물림해 내려오는 장로들의 구전(口傳)에 근거한 것이다.


그 이야기에 따르면 당시에 어떤 비구 대중 5백 명 주5 이 부처님께 각자 기질에 맞는 특수한 명상기법을 지시받았다고 한다. 그런 다음 그들은 우기의 넉 달간을 안거(安倨)하면서 명상에 전념하기 위해 히말라야 산기슭으로 들어갔다. 당시에는 우안거가 시작되기 한두 달 전 비구들이 방방곡곡에서 부처님이 계신 곳으로 모여들어 세존의 가르침을 직접 받은 다음 각기 정사나 숲 속의 거처 또는 토굴로 돌아가 정신적 해탈에 매진하는 것이 관례였다. 그래서 그들 5백 명의 비구들도 부처님이 머물고 계시던 사왓티의 아나타삔디까가 지은 제따 숲속 정사[祇園精舍]로 가게 되었던 것이다. 



각자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은 다음, 비구들은 적당한 거처를 찾아다니다 히말라야 산록에서 아름다운 작은 언덕을 발견했다. 주석서에 따르면, 그 언덕은 "갑자기 눈앞에 나타났는데 마치 반짝이는 푸른 수정과도 같았다. 서늘하고 울창한 녹색 숲을 장식처럼 두른 그 속에, 한 자락의 모래 깔린 땅이 마치 진주그물인양, 아니면 한 장의 은종이인양 펼쳐져 있었던 것이다. 시원한 물이 솟는 깨끗한 우물까지 갖춘 채로."


이 광경에 비구들은 넋을 잃었다. 부근에는 띄엄띄엄 마을이 있고 게다가 장이 서는 작은 읍내까지 있어 탁발하기에도 안성맞춤이었다. 비구들은 이 목가적인 숲에서 하룻밤을 지샌 후 다음날 아침 탁발하러 장터로 갔다.


그 곳 주민들은 비구들을 보자 대단히 반가워했다. 사실 비구대중이 그처럼 궁벽한 히말라야의 오지까지 안거하러 오는 일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이들 신심있는 마을 사람들은 비구들에게 공양을 올린 후, 부디 이곳에 계속 머물러만 준다면 그 모래땅에다 각자 앞으로 오두막을 한 채씩 지어드려, 밤낮을 거목의 묵은 가지 아래에서 명상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해드리겠다고 청하여마지 않는 것이었다. 비구들이 이를 받아들이자 그 일대에 사는 신도들은 즉시 숲가에 조그만 오두막들을 짓고, 그 안에 나무침대와 의자 그리고 마실 물과 씻을 물을 담을 항아리까지 빈틈없이 마련해주었다.


비구들은 흐뭇한 마음으로 각기 오두막에 자리잡은 다음, 이번에는 주야로 명상하기에 알맞은 나무 그늘을 골랐다. 그런데 이 거대한 나무들에는 목신들이 살고 있었다. 아마 그들은 주택의 받침대로 이 나무들을 쓰고 있었던 모양이다. 이 목신들은 정진하는 비구들을 존경하여 온 가족이 기꺼이 그 자리를 비켜주었다. 이처럼 수행자의 덕은 모든 사람들의 우러름을 받았으며, 신령들은 특히 그랬기 때문에 비구들이 나무 아래에 앉자 집주인격인 신령들도 감히 그들 위에 머무르려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 처음에 목신들은 비구들이 기껏해야 하루나 이틀 묵어가리라 생각하고 기꺼이 불편을 참을 생각이었던 모양이다. 그러나 여러 날이 가도 계속 비구들이 나무 아래 자리를 차지하고 있자, 그들이 도대체 언제쯤에나 떠날 것인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마치 마을을 방문한 왕족 때문에 관리들에게 집을 징발당한 마을 주민들이 언제쯤이면 집에 되돌아갈 수 있을까 궁금해하며 멀리서 전전긍긍하고 있는 현상이었다. 


이처럼 집을 빼앗긴 목신들은 마침내 자기들끼리 의논한 끝에 수행자들에게 무시무시한 형용을 나타내 보이고 끔찍한 소리를 내거나 메스꺼운 냄새를 피워 그들을 쫓아내기로 결의했다. 그들이 갖가지로 무서운 모습을 하고서 괴롭히자 수행자들은 새파랗게 질려 더이상 참선에 집중할 수 없게 되었다. 신령들이 계속 못 견디게 굴자 마침내 그들은 마음을 챙기려는 기본자세마저 흐트러져 버리고 머릿속은 무섭게 짓누르는 형상과 소리 냄새로 뒤죽박죽이 되어 버렸다. 결국 비구들은 최연장 장로를 중심으로 모두가 모인 자리에서 각자가 겪은 경험들을 토로하게 되었다. 장로는 "스님네들, 우리 세존께 가서 이 문제를 여쭈어보도록 합시다. 우안거에는 초기와 후기, 둘이 있지 않소. 이곳을 떠나게 되어 초기 우안거를 깨뜨리게 된다 해도 세존을 뵌 다음, 후기 안거는 



이윽고 그들은 사왓티에 도착하여 세존의 발아래 무릎을 꿇고 자신들의 끔찍한 체험을 말씀드린 뒤 다른 곳을 참선장소로 정해달라고 간청했다. 부처님은 신통력으로 인도 전역을 훑어보셨지만 그들이 해탈을 이룰만한 장소는 오로지 그곳밖에 없음을 아시고는 그들에게 이르셨다. "비구들이여,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라. 그곳에서 정진해야만 마음속의 때를 지울 수 있을 것이다. 두려워하지 말라. 신령들의 괴롭힘에서 벗어나고 싶거든 이 경을 외우고 닦아라. 이는 명상의 주제일 뿐 아니라 호신주(護身呪, paritta)도 되니라." 그리고는 세존께서 `필수 자비경 - 보편적 사랑의 찬가'를 읊으시자, 비구들도 세존 앞에서 따라 외운 다음 다시 온 곳으로 되돌아갔다.


비구들이 자비경을 암송하며 그 깊은 의미를 음미하고 명상하면서 자신들의 숲속 거처에 다가가자, 목신들의 마음은 따뜻한 호의로 가득 차게 되어 인간의 모습을 하고 나타나 비구들을 깊은 공경심으로 맞아들였다. 그들은 비구들의 발우를 받아들고 비구들을 방으로 안내한 뒤 물과 음식을 대접하고는 다시 원래의 그들 모습으로 돌아가, 이제부터는 조금도 주저하거나 두려워할 것 없이 나무 아래에 앉아 명상에 전념해달라고 청했다.



과연 목신들은 3개월의 우기 동안 비구들을 여러 모로 돌봐주었을 뿐만 아니라 조금도 소음이 생기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주었다. 완벽한 고요를 누린 덕분에, 우기가 끝났을 때엔 모든 비구들이 정신적 완성의 극치에 이르게 되었다. 5백 명의 비구가 한 명도 빠짐없이 모두 아라한이 되었던 것이다.


진실로 자비경의 원래 지니고 있는 위력은 이처럼 대단한 것이다. 누구든지 신령들의 보호를 빌고 자비에 대해 명상하면서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자비경을 외우면 자신을 모든 면에서 방호하게 될 뿐 아니라 주변의 모든 사람들까지도 보호하게 되고 또 정신적 향상을 이루게 되는 바, 이런 사실은 누구든지 시험해보면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 자비의 길을 따르는 이에게는 어떤 해도 닥쳐올 수 없는 것이다.


3. 자비의 세 측면


자비경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기 자비의 특징적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 부분(3~10행)이 다루고 있는 측면은 각자의 일상적 행위에 자비를 철저히 체계적으로 적용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이다. 두번째 부분(11~20행)은 삼매에 이르는, 다시 말해 정신통일에 의해 유발되는 더 높은 식(識)에 이르는, 탁월한 명상기법 또는 마음 계발법으로써 자비관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리고 세번째 부분(21~40행)은 보편적 사랑의 철학에 전적으로 귀의하여 이를 사람들에게, 전 사회에, 또 자신의 내면적 경험면에서 확대, 심화하는데 전심전력할 것을, 다시 말해 모든 신체적·언어적·정신적 활동을 통해 자비를 실천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자비는 보시, 지계 등의 열 가지 공덕짓는 방법[十功德行] 주6 에 의해 쌓은 공덕을 `익히는' 특수요소로 간주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바라밀이라는 열 가지 주7 고상한 정신적 자질을 성숙하게 만드는 것도 바로 자비이다.


따라서 자비 수행을 거목의 성장과정에 비유할 수 있다. 씨가 뿌려져서부터 향기로운 과일을 주렁주렁 맺어 그 향기를 널리 퍼뜨려 뭇 생물들이 그 맛있고 영양가 높은 시은물(施恩物)을 즐기기 위해 모여드는 커다란 과일 나무가 되기까지의 성장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씨가 싹트고 나무가 자라는 과정이 경의 첫 부분이라면 두 번째 부분에서는 그 나무가 튼튼하게 잘 자라나 뭇 시선을 끌만큼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으로 덮여 있는 모습이다. 


다시 작용형태별로 보면 자비의 첫째 측면은, 우리들의 삶을 유익하고도 도량이 넓고 당당한 나무처럼 자라도록 해준다. 두번째, 명상으로서의 자비는 정신적 개화를 가져오며 그 결과 우리의 삶 전체가 만인에게 기쁨의 원천이 된다. 세번째 부분은 정신적 발전 과정이 결실을 맺는 것에 해당한다. 일체를 포용하는 정신적 사랑을 하게 되어 사회 전체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게 될 뿐 아니라 그 자신은 저 높은 초월적 깨달음의 경지에까지 다다르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은 무궁무진한 정신력과 통찰력을 매장하고 있는 광산과 같다. 이 내면의 무한한 잠재공덕은 오직 자비의 수행에 의해서만 충분히 캐어낼 수 있다. 경전에서 자비를, 휴면 상태의 공덕을 원숙케 만드는 `성숙시키는 힘'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만 봐도 분명하다.


<망갈라경>에서는 좋은 도반과 어울리는 등등에 의해서 향상적 인간관계로부터 놓은 다음, 과거의 공덕이 `결실을 보기'에 알맞은 환경을 선택할 것을 들고 있다. 결실을 보게 만드는 것, 그것이 바로 자비가 하는 일이다. 단순히 나쁜 친구를 피해버리거나 교양있는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자비로 마음을 계발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과거의 공덕이 결실을 맺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4. 자비의 윤리


불교체계에서는 윤리란 바른 행위를 뜻한다. 즉 행복과 마음의 평화를 가져다주고 후회나 근심 또는 마음의 불안정을 일으키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윤리의 뜻은 여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윤리가 가져오는 즉각적인 심리적 이득에 불과하다. 올바른 행위는 또한 행복한 재생(再生)으로 이어져 구도자가 더욱 더 정신적 해방의 길을 나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향상(progress in dhamma)을 이루는 기반이기도 하다. 바꾸어 말하면 부처님의 성스러운 팔정도 중에서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이 바로 최상의 의미에서 올바른 행위인 것이다.


불교의 윤리에는 두 가지 면이 있다. 이행해야 할 계(준수사항, caaritta)와 금해야 할 율(금지사항, vaaritta)의 둘이다. 이행해야 할 계(戒)는 자비경에 나오는 바로는 다음과 같다. 


(그는) 유능하고 정직하고 고결하고

말이 점잖으며, 온유하고 거만하지 않아야 한다.

만족할 줄 알아서 남들이 공양하기 쉬어야 하며,

분주하지 않고 생활이 간소하며,

감관은 고요하고 사려 깊을지니,

속인들에겐 뻔뻔스러워서도 알랑대서도 안되리.


또 금해야 할 율(律)은 다음 게송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현자의 질책을 살

어떤 행동도 삼가야 할지라.


여기서 자세히 살펴보면, 몸과 입으로 짓는 자비행은 준수와 금지를 닦는 것이 되며, 그 결과로 얻어지는 내면의 행복과 이타적 충동은 구도자가 마음으로 짓는 자비행으로 나타나다. 이는 해당 게송의 결구에 나타나 있다.


모두가 탈없이 잘 지내기를,

모든 중생이 행복하기를!


자비의 윤리가 가져오는 것은 이처럼 주관적 평안이나 금생의 향상 그리고 내생의 행복한 재생에만 그치지 않고 더 적극적인 베풂도 포함한다. 즉 두려움이 사라지게 해주는 베풂[無畏施, abhayadaana]과 편안하게 해주는 베풂[安穩施, khemadaana]이 그것이다.


자비경이 우리에게 다른 개인이나 사회전체에 대해 취하도록 권장하는 행동양식과 성품을 분석해보면, 이 경이 정신건강 면에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는지 알 수 있다. 이제 경의 내용을 하나하나 검토해 보자.


첫머리에 나오는 `유능함'이란 단순히 효율성이나 숙달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고, 남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겠다는 배려에서 일을 원만히 처리하는 것까지도 뜻한다. 그런데 유능한 사람은 교만해지기 쉬우므로 수행자는 `정직하고 고결해야'하는 한편, `말이 점잖으며 온유하고, 거만하지 않아야 한다.' 참으로 완벽하게 종합되고 평형을 이룬 성품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남들이 공양하기 쉬워야 한다.' 검소함은 남들을 배려하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고상한 품성이다.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또 남에게 수범이 되기 위해서 자신의 필요물을 줄이면 줄인 그 만큼 사람도 순수해진다. 


사람이 천하고 물질적이 될수록 필요로 하는 것도 늘어난다. 따라서 어떤 사회가 정신적으로 건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잣대는 그 사회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어느 정도 줄여나가고 있는지, 다시 말해서 만족할 줄 아는 정도가 바로 그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물질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생활을 하면 부족한 것이 자꾸 늘어날 뿐 아니라 마음이 불안해지는 것도 한 특징이다. 이 불안한 마음은 지나치게 분주하고 지나치게 행동적이며 절도와 자제력을 잃은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자비가 진정 만인의 복리를 증장시키려는 것일진대, `진지한 인본주의'적 자세를 견지하여, 인연있는 일체 중생들의 안녕을 극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몇 가지의 선택된 의미있는 일에만 전념하는 차분함이 없어선 안될 것이다.


또 자비심의 발로로 검소한 생활을 할 경우엔 반드시 그 사람의 견해와 행위까지도 새롭게 정립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지금 같은 쾌락추구와 소비지향 일변도의 경쟁사회라 해서 이 점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검소하게 사는 사람은 점잖으면서도 유능하고 능률적이며 또 감관을 제어하고 있어 절도가 있고 검약하며 자제한다. 이런 사람에겐 명상을 통한 정신계발도 물 흐르듯 자연스러워 힘이 들지 않는다. 그래서 `감관이 고요할' 것을 강조하게 되는 것이다.


자비로운 행위에는 `사려 깊은' 면, 다시 말해 실제적인 지혜도 포함된다.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온갖 형태의 인간관계에 맞추어 다양하게 자비행을 펼 수 있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은 틀림없이 영민하고도 현명한 사람이다. 수행자는 또한 정신수행을 빙자하여 독선적이 되기 쉽다. 실제로 그런 예를 흔히 목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독선은 자기가 남보다 낫거나 더 독실하다고 믿는 우월감의 발로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따라서 속인들에겐 뻔뻔스러워서도 알랑대서도 안 된다'는 말은, 참으로 자비로운 

사람이라면 어떤 형태의 독선에도 빠지지 말아야 한다는 지침일 것이다.


나아가 자비수행자는 `현자들이 사려 분별이 모자라거나 예의범절에 어긋난다고 책할만한 행동'은 설사 사회적 관습이 그러할지라도 `삼가도록' 충고하고 있다. 선(善)은 자신의 안녕뿐 아니라 남들의 안녕도 고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기 혼자 선한 것만으로는 충분치 못하고 남의 눈에도 선하게 비쳐져야만 한다. 모두의 이익을 위해, 사회의 복리를 위해 구도자는 모범적인 생활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는 사람은 이제 자비경의 나머지 부분에 그려져 있는, 정확한 명상기법을 통해 일체를 포용하는 자비로운 마음 닦는 일에 착수할 수 있다.


자비경은 일명 호신주라고도 하는데 능히 자신의 안녕을 지켜주고 모든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주며 사고와 불행으로부터 자신을 구제해줄 수 있는 신성한 문구라는 뜻에서이다.


앞의 얘기에서 비구들은 목신들의 적개심을 샀기 때문에 모처럼 만난 그 좋은 환경을 계속 누리지 못하고 그곳을 떠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비구들이 돌아오는 길 내내 자비경을 독송하고 명상하여 그 가호를 받게 되자 그들이 도착할 즈음에는 목신들이 정다운 마음으로 그들을 기다리게끔 되었던 것이다. 적개심이 환대심으로 바뀐 것이다.


호신주의 보호는 안으로도 밖으로도 작용한다. 안으로는, 자비가 마음을 깨끗하고 활발하게 만들다보니 자연히 잠자고 있는 가능성을 일깨우게 되고, 그 결과 정신면에서 인격상의 대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자비에 의해서 일대 변화가 일어나면, 우리의 진정한 적이요, 만가지 불행의 근원인 탐욕, 증오, 색욕, 질투 등등 마음을 오염시키는 요소들이 이제는 함부로 그 마음에 출몰하지 못하게 된다.


또 밖으로는, 자비는 염력으로써 어느 곳의 어떤 마음에 대해서도, 그것이 높은 수준의 마음이든 낮은 수준의 마음이든 관계없이 능히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자비에서 방사되는 파장은 사람을 진정시키고 또 그 마음으로부터 증오의 화살을 제거하며 심지어는 중병마저도 치유해줄 수가 있다. 불교 신봉국에서는 호신주를 외워 갖가지 병을 치유하거나 불행에서 벗어난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처럼 자비는 진정한 치유력이기도 한 것이다. 안전장치까지 마련해주는 치유 주문(呪文), 그것이 자비가 호신주 역을 해내는 방식이다.


5. 자비의 심리학


빠알리 주석서들은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사람이 만중생을 사랑하려면,

1) 만중생을 억압하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억압하기를 피한다.

2) 만중생에게 공격적이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공격적이기를 피한다.

3) 만중생을 학대하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학대행위를 피한다.

4) 어떤 생명도 해치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파괴적이기를 피한다.

5) 만중생을 괴롭히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괴롭히기를 피한다.

6) "만중생이 화목하고 서로 적대하지 않기를!" 하고 바라는 염을 투사해 보낸다.

7) "만중생이 행복하여 불행하지 않기를!" 하고 바라는 염을 투사해 보낸다.

8) "만중생이 평안을 누리고 번민하지 않기를!" 하고 바라는 염을 투사해 보낸다.


이처럼 여덟 가지 방식으로 만중생을 사랑한다. 따라서 보편적 `사랑'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성질(의 사랑)을 (속에) 품는 것이므로 이는 어디까지나 `마음'의 문제이다. 또 이러한 마음은 모든 악의 어린 생각에서 `자유'로우므로 이들 사랑과 마음과 자유가 합친 것을 두고 `마음의 자유[心解脫]로 이끄는 보편적 사랑[慈心解脫]'이라 정의하는 것이다.


위에 든 주석서의 문장으로 미루어 자비는 여러 면으로 긍정적 덕목을 적극 실행하여 그와 대칭되는 부정적 성품들로부터 벗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우리가 만중생에 대해 억압하지 않는 길을 적극 실천할 때에만 비로소 남을 억압하려는 성향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공격적이고 남을 학대하고 파괴적이고 괴롭히는 부정적 성품을 벗어나려면 그 반대되는 자질들, 즉 공격적이지 않고 학대하지 않고 파괴적이지 않고 괴롭히지 않는 자세를 행동, 말, 생각을 통해 실천하는 길뿐이다. 이와 같이 긍정적으로 행하여 삶의 방식을 반듯한 원칙 위에 고이 세운 다음, 그러한 삶을 기반으로 하여 `자비관법'이라는 특수 명상기법을 닦아 마음을 더욱 더 계발해나가는 것이며 그럴 경우 자비관이 강력하게 일으켜내는 승화된 사랑의 염 또한 끝 모르게 자라나서 우리의 식(識) 그 자체를 무한하고 보편하게 만들어준다.


만중생이 화목하고 적대하지 않도록, 행복하고 불행하지 않도록, 안녕을 누리고 고난을 겪지 않기를 기원하는 그 마음가짐은 이미 숭고하고 광대무변한 경지에 도달했을 뿐 아니라 그 마음의 자유 또한 완벽하기에 이르렀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마음을 자유로 이끄는 보편적 사랑'이란 표현이 조금도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자비와 반대되는 다섯 가지 성향들의 의미를 밝히자면, `억압(piilana)'은 남을 압박하거나 손실을 입히려드는 욕망이며, `공격적(upaghaata)'이란 남을 다치거나 상처를 주려는 성향이고, `학대(santapa)'는 고통을 주려는 가학적 성향과 동의어로 남을 아프고 비참하게 만드는 것이다. `파괴(pariyaadaana)'는 끝장내거나 해치워버리려는 것으로 극단주의자와 성상파괴자들의 특징이고, `괴롭힘(vihesam)'은 부담을 지우거나 난처하게 만들거나 근심과 긴장을 안겨주는 짓을 말한다. 이들 성향은 모두 

반감과 악의에 뿌리박고 있어서 행동양식으로서나 심리상태 혹은 정신적인 자세 모든 면에서 자비와는 대조를 이룬다. 


부정적인 성향을 일일이 그와 상반되는 긍정적인 도리로 대체시켜 나갈 수 있다는 것은 삶에 접근하는 자세가 매우 발전, 성숙했음을 의미한다. 남을 억압하지 않고, 공격하지 않고, 파괴하지 않고, 괴롭히지 않는 채로 있을 수 있는 능력은, 지금처럼 인간관계가 고도의 긴장과 비참상을 빚고 있는 세상에서는 특히 우아하고 아름답고 사랑에 넘치는 행동지표가 아니 될 수 없다.


<청정도론>에 따르면 자비는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노여움, 원한, 공격성 같은 오염물뿐만 아니라 남의 마음속 오염물까지도 정화시키는 용해제이다. 자비는 우정으로 다가가기 때문에 적대적이던 사람들마저 친구로 돌아서게 되는 것이다.


논(論)은 또 자비를 논하여, 향상을 돕는 것이 그 `특징'이며, 고통보다 안녕을 안겨주는 것이 그 본래의 `작용'이며 골칫거리를 풀어내는 힘으로 분명하게 `드러나며', 사물이나 중생들의 좋은 면만 보고 나쁜 면은 보려들지 않는 성향이 그 `근인(近因)'이며 악의를 진정시킬 때 `성공'하고, 세속적 애정으로 전락할 때 `실패'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분석해볼 때 사람들에게서 좋은 면만을 보려하고 남들이 잘되는 쪽을 더 좋아하고 따라서 비공격적이 되어 (어떤 골칫거리나 상처도 제거해주며), 또 적극적으로 복리를 증진시켜 줄 때에만 자비가 용해제 구실을 한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자비의 최종목적은 초세간적 통찰력을 얻는 것이며 설혹 그것을 얻지 못하는 경우에도, 금생에는 내면의 평화와 건강한 마음상태를 누릴 수 있고 내생에도 최소한 저 거룩한 범천의 세계에 반드시 태어나게 된다고 한다. 부처님께서도 자비경에서 다음과 같이 보증하고 계신다.


그릇된 생각에 더이상 매이지 않고,

계행과 구경의 지견을 갖추었으며,

모든 감관적 욕망을 이겨냈기에

그는 다시 모태에 들지 않으리.


사랑은 감정 중에서도 가장 해로운 감정인 악의를 막아준다. 그러기에 "벗들이여, 보편적 사랑이 이룩해낸 마음의 자유[慈心解脫], 그것은 바로 악의에서의 완전한 해방인 것이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장부(長部)> Ⅲ, 248쪽 ―


우리가 자비공부를 닦을 때 특히 경계해야 할 감정들이 있다. 자비와 유사하기 때문에 자칫 자비공부를 망치기 쉬운 감정들과 또 자비와는 전연 비슷한 점이라곤 없기 때문에 자비공부를 크게 방해하는 감정들이 그것이다. <청정도론>에서는 이들을 `두 적­가까운 적과 먼 적'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탐욕, 색욕, 속된 애정, 관능탐닉은 모두 가까운 적이니 그 성향이 자비심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호색하는 사람들도 상대의 좋은 면이나 아름다움을 보기 때문에 거기에 빠져드는 것이다. 이런 감정들이 자비의 탈을 쓰고 수행자를 속이지 못하도록, 진정한 자비심을 가까운 적으로부터 보호하지 않으면 안된다.


악의와 분노, 증오는 자비심과는 닮지 않은 감정들이므로 먼 적이 되는 셈이다. 먼 적은 쉽사리 분간할 수 있으므로 두려워할 필요는 없지만 반드시 한층 높은 힘인 사랑을 쏟아내어 이 적을 정복해버려야 할 것이다. 문제는 가까운 적들이다. 이들 앞에선 우리가 자칫 자기 기만을 일삼기 쉽기 때문이다. 이 자기 기만이야말로 우리가 개인으로서 범할 수 있는 가장 고약한 것으로 아무리 조심해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논(論)은 다시 논하기를, 자비는 행동으로 옮기고 싶을 정도로 열의가 왕성해야만 `시작'될 수 있고, 애써 시작됐다 하더라도 지속이 되려면, 다섯 가지 장애[五蓋] 즉, 감각적 욕망, 악의, 나태와 혼침, 들뜸과 근심, 의심을 진압해내야만 하며, 선(禪, jhaana)에 도달함으로써 `극치를 이룬다'고 한다.


6. 자 비 관


자비수행, 즉 보편적 사랑에 대한 명상을 닦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세 가지만 소개하고자 한다. 누구든 자비수행에 착수해보려는 열의가 있는 사람이면, 공부를 지어나가는 방법에 대해 의문을 갖지 않도록, 경과 주석서에 입각하여, 간단명료하게 직설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자비수행의 이론과 실천에 관해 좀더 충분한 설명을 원하는 독자는 <청정도론> 9장을 참조하기 바란다.


자비관 수행방법(1)


선방이나 조용한 방, 공원, 기타 어디든지 혼자서 고요히 있을 수 있는 장소에서 편안한 자세로 정좌한다. 눈을 감고 `자비'를 몇 번 되풀이하여 발음하면서 마음속에 그 뜻을 떠올린다 ― 증오·원한·악감·성마름·자만·건방과 반대이며, 남들의 행복과 안녕을 증진시키는 선의, 동정, 친절 등과 같은 심원한 감정인 사랑을.


그런 다음 행복감으로 빛나는 자기 자신의 환한 얼굴을 눈앞에 그려보라. 거울을 볼 때마다 행복한 기분을 지어보고, 명상할 동안에도 줄곧 그런 기분에 잠겨보라. 행복감에 잠긴 사람은 화를 내거나 부정적인 생각과 느낌을 품을 수가 없다. 행복한 기분에 잠긴 자기 모습을 눈앞에 그린 다음 이제 "내가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내가 행복하게 살아지이다." 하는 생각으로 자신을 가득 채우라. 이처럼 긍정적인 사랑의 염력으로 스스로를 가득 채우면 그대는 마침내 물이 가득한 그릇과 같이 될 것이며 이제 그 내용물을 사방으로 넘쳐보낼 준비가 된 것이다.


이제 그대는 그대의 명상을 지도해주는 스승의 모습을 눈앞에 떠올린다. 살아계실 경우다. 만일 스승이 살아계시지 않는다면 생존해 계신 다른 스승이나 존경하는 어른을 떠올린다. 행복한 기분의 그 분을 그려보며 위에서와 똑같은 생각을 투사(投射)한다.


"스승께서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시기를! 그분께서 행복하게 사시기를!"


그런 다음, 그 밖에 생존해 계신 분으로 존경할만한 분들, 스님들, 스승들, 부모 및 웃어른들을 떠올리고 그들 각각에게 전술했던 식으로,


"그분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분들이 행복하게 사시기를!" 하고 자비의 염을 열심히 펼쳐보낸다. 이때 눈앞에 떠올린 모습은 선명해야 하며 명의 방사(放射)는 진심에서 우러나는 것이어야 한다. 만일 영상화(映像化)를 서두르거나 기원을 형식적 또는 기계적으로 하고 있으면 그 공부는 소득이 없을 것이다. 자비를 행한다는 것, 다시 말해 자비로운 의지의 힘을 적극적으로 투사하는 것은 단순히 자비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과는 전연 별개의 것임을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또한 살아있는 사람만을 영상화시키고 죽은 사람은 대상으로 삼지 않도록 주의하라. 그 이유는 죽은 사람은 이미 형태를 바꾸었기에 자비투사의 초점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비관의 대상은 항상 살아있는 존재라야 하며 그 대상이 살아있지 않으면 염력은 효력을 잃고 만다. 전술한 대로 자신, 명상 스승 그리고 다른 존경하는 사람의 순서로 사랑의 염을 방사한 다음, 이제는 자신의 가족부터 시작하여 한 사람씩 한 사람씩 정다운 사람들을 눈앞에 그려나가면서 자비의 광선을 가득히 비추어 그들을 감싼다. 자비는 자기 집안에서부터 시작된다. 자기 가족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이 남을 사랑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기의 가족에게 자비를 펼칠 때는 자신의 배우자와 같이 너무 정이 깊은 사람은 친한 사람들 중 제일 뒤로 돌리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 그 이유는 부부간의 친밀함에는 자비를 때묻게 하는 속된 애정이란 요소를 개입시킬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참된 정신적 사랑은 누구에 대해서나 똑같아야 한다. 또 가족이나 친척 중에 어떤 사람과 일시적인 오해나 다툼이 있었다면 그 불쾌한 사건을 회상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그 사람 역시 뒤에 가서 영상화시키는 게 좋다.


다음은 특별히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무관한 사람들 차례인데, 이웃 사람들, 직장 동료들, 그저 면식이 있을 정도의 사람들 등등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가능한껏 일일이 사랑의 염을 방사한 후에 비로소 자기가 싫어하거나 적대감 내지 편견을 품고 있는 사람들을 영상화시키며, 일시적 오해가 있었던 사람들도 이때 떠올린다. 싫은 사람들을 영상화할 때에는 각 대상에 대해 "나는 그에게 아무런 적의가 없다. 그도 나에게 적대감이 없기를, 그가 행복하기를!" 하고 마음속으로 반복해야 한다.


이처럼 여러 층의 대상들을 눈앞에 떠올려나가는 동안 그는 좋고 싫고 애착하고 증오하는 데에 기인한 장벽들을 무너뜨리게 된다. 만일 적에 대해서도 아무런 악의를 품지 않고 가장 친한 친구에 대해 느끼는 정도로 선의를 가지고 대할 수 있게 되었다면 자비는 평형의 극에 달할 것이며, 그러한 자비야말로 한없이 넓어져나가는 나선운동처럼 마음을 위로 또 밖으로 고양시켜서 일체를 포용하도록 만든다.


여기에 `영상화'라 함은 어떤 대상, 즉 어떤 사람, 어떤 특정지역 또는 방향, 어떤 범주의 중생을 `마음에 떠올리거나 그려보는 것'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자기가 사랑의 염을 투사하거나 펼쳐보내고 있는 상대 인물들을 상상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대가 아버지 얼굴을 상상하는데 매우 행복하고 기쁨으로 빛나는 얼굴을 마음속에 그리고는 그 그려진 심상(心像)을 향해 `그분이 행복하시기를! 그분이 병고나 근심걱정에서 벗어나시기를! 건강을 누리시기를!' 하고 마음속으로 되뇌면서 생각을 투사해보내는 것이다. 이때 되뇌는 내용은 그분의 안녕을 증진시키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방사(放射)'라 함은 전술했듯이 어떤 사람들에게 마음을 향하고는 그들의 안녕을 조장(助長)하는 어떤 생각을 투사해보낸다는 뜻이다. 자비의 염은 강력한 염력이다. 그것은 의지(意志)한 바를 현실화시킬 수 있다. 왜냐햐면 안녕을 빈다는 것은 `의지행위'이며 따라서 창조활동이기 때문이다. 사실 모든 분야에 걸쳐 인간이 창조한 것들은 그것이 도시건설이건, 수력발전소건, 달착륙 우주선이건, 살상용 무기이건, 아니면 예술적·문학적 걸작품이건 간에 모두 사람이 발휘한 의지의 소산인 것이다. 자비염의 방사 또한 의지한 바를 현실로 이끌어내는 바로 그 의지력의 전개현상인 것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자비의 염력을 써서 질병을 치유하거나 불행을 방지한 사례가 얼마든지 있다. 다만 이 염력을 일으킬 때는 매우 특수하고 숙달된 방식으로 소정의 수순을 밟을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 쓰고 있는 자비 방사의 언구는 고대의  무애해도 에서 비롯하여 전승되어 오는 것이다. 


"그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averaa hontu, abyaapajjhaa hontu, anighaa hontu, sukkhii attaanam pariharantu)".


이 용어들에 대한 주석서의 설명은 매우 의미심장한 바가 있다. `적의에서 벗어나다, 적의로부터 자유롭다(avera)'란 말은 스스로 일으키거나 남이 도발한 적의, 스스로 일으켰지만 그 원인은 남의 탓인 적의, 남이 도발했지만 그 원인은 자기나 제삼자가 제공한 적의 등 일체의 적의가 부재한 것을 뜻한다. 자기 자신을 향해 느끼는 분노는 자기 연민이나 후회, 죄어드는 것 같은 죄책감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런 분노는 남들과의 상호작용이 그 전제조건일 수 있다. 분노가 증오와 결합하면 적의가 된다. 


그 다음 `고통에서 벗어난다(abyaapajjhaa)'는 말은 아픔을 겪지 않는 것, 신체적 괴로움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번민에서 벗어난다(anighaa)'는 말은 적의나 신체적 고통에 흔히 따라오는 정신적 고통이나 비통 또는 근심 따위가 없음을 뜻한다. 사람이 행복하게 산다는 것, 다시 말해서 느긋함과 유쾌함을 누리며 처신한다는 것은 적의와 고통, 번민에서 벗어났을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 용어들은 모두가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이다.


`순서대로'라는 말은 대상을 하나하나 떠올려감에 있어 저항이 가장 적은 쪽부터 점진적으로 범위를 넓혀나가면서 마음 그 자체로 넓혀나가는 것을 뜻한다.  청정도론 은 특히 이 순서를 강조하고 있다. 아짜리아 붓다고샤에 의하면 자비에 대한 명상은 자신을 떠올리는 것에서 시작하여 그 다음에 자기가 존경하는 사람, 그 다음엔 친근한 사람, 그저 그런 사람, 적대적인 사람의 순서로 자비관을 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순서로 자비심을 방사함에 따라 마음은 존경하는 사람, 친근한 사람, 무관한 사람, 적대적인 사람들과 자신 사이의 모든 장애를 허물게 되며 모든 사람들을 똑같은 자비의 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청정도론 은 장애를 허무는데 대해 매우 적절한 비유를 들고 있다.


"어느 곳에 존경하는 사람, 친근한 사람, 중립적인 사람, 적대적인 혹은 사악한 사람과 함께 앉아있는 어떤 명상자에게 강도들이 와서 `친구여, 당신들 가운데 한 사람이 인간 제물로 꼭 필요하오.'라고 요구해왔다고 하자. 이때 명상자가 이 사람을 데려가라 할까, 저 사람을 데려가라 할까 따위로 생각한다면 그는 벽을 허물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중 누구도 데려가면 안된다. 나를 데려가라 해야지' 해도 이 또한 자신에게 해를 끼치는 짓이므로 아직 장애를 허물지 못한 것이다. 자기 자신의 안녕 역시 자비관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가 누구도 도적의 손에 넘겨줄 필요가 없다고 보고 도적을 포함한 모두에게 한결같이 사랑의 정신을 방사한다면, 그때 그는 장애를 허문 것이다."


자비관 수행법(2)


자비관 수행의 첫째 방법은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부터 시작해서 점점 거리가 먼 사람들을 향해 자비심을 방사해나가는 특정 개인 상대의 방식이었다. 여기 둘째 방법은 빠알리어 `mettaa-cetovimutti(보편적 사랑을 통한 마음의 해탈)'이란 말 그대로 진실로 일체를 포용하는 마음이 되도록, 사사로운 관계를 넘어서 자비를 방사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해방되지 못한 마음은 자기중심주의와 탐욕, 증오, 미혹, 질투와 비천함의 감옥에 갇혀 있다. 사람이 이 따위의 마음을 더럽히고 옹졸하게 하는 정신적 요소들에 속박당하고 있는 한 그 마음은 내내 차꼬 채워진 채 편협함에서 벗어날 길이 없는 것이다. 자비는 이 멍에들을 깨뜨림으로써 마음을 해방시키며, 일단 해방되면 마음은 자연히 무한무량하게 자라난다. `대지가 다하는' 법이 없듯이 사랑도 다함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수행자가 먼저 선택된 인물들을 향해 자비를 방사하기를 마치어, 존경하는 사람, 사랑하는 사람, 친구, 무관한 사람, 적대적인 사람 등 그 모든 사람들과 자기와의 사이에 가로막힌 장벽을 허물고 나면 이제 그는 주변 인물들을 떠나 다중을 향해 자비를 방사해나가는 `일대항해'를 시작하게 된다. 망망대해를 헤쳐나가는 원양선이 뱃길을 잃지 않고 목표지점을 향해 나아가듯이 수행자도 이때 길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법에 따르는 것이 좋다.


먼저 그대의 집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 하나의 집합체를 이루고 있다고 상상하라. 그리고는 그들 모두를 그대 마음속에 포옹하고는 다음처럼 자비심을 방사한다.


"이 집에 사는 모든 이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이런 방식으로 자신의 집을 영상화(映像化)하고 다음에는 옆집과 그 식구들을 영상화한다. 이렇게 한집 한집 대상으로 삼아 마침내 그 거리의 모든 집들이 대자비로 감싸일 때가지 계속한다. 다음에는 그 옆 거리, 그 다음 거리의 순으로 온 이웃과 동네를 덮어나간다. 그런 다음에는 방향을 따라 점점 넓혀나가면서 분명하게 영상화시키고는 자비의 광선을 풍성하게 펼친다. 이렇게 마을 전체 혹은 도시 전체를 감싼 다음에 그 지방과 주(洲) 주9 전체를 감싸면서 자비염을 방사한다.


다음으로 지기 주에서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한 주씩 영상화한 다음 동서남북 방향별로 나머지 주들을 떠올린다. 이처럼 수행자는 계급이나 인종, 종파나 종교에 관계없이 그 나라에 사는 모든 사람들을 지리적으로 영상화시켜야 한다.


"이 거대한 대륙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평화롭고 안녕하기를! 전쟁도 분규도 불행도 병고도 없기를! 우애와 행복, 자비와 지혜로 빛나는 가운데 이 거대한 국토의 모든 사람들이 평화와 풍요를 누리기를."


이제 수행자는 전 대륙을 동서남북 방향으로 한 나라씩 덮어나간다. 각 나라를 지리적으로 상상하면서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보며 자비의 염을 무량하게 방사해보낸다.


"그들이 행복하기를! 그곳에 분쟁과 불화가 없기를! 선의와 이해심이 넘치기를! 모두에게 평화가 있기를!"


그런 다음에는 각 대륙을 떠올린다. 아프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북미, 남미의 각 나라와 각 민족을 영상화시키면서 전 지구를 감싸나간다.


다시 자신이 지구의 어떤 한 지점에 위치하여 강력한 자비의 광선을 투사하고 있다고 상상하라. 지구의 한 방향을 감싸고 다음에는 다른 방향을, 그 다음엔 또 다른 방향을, 그래서 마침내 전 지구를 보편적 사랑의 타는 듯한 광휘로 넘치게 하고 완전히 감싸이게 한다고 상상하라. 


이제 명상자는 강력한 자비의 빛을 광대무변한 우주로 투사하여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일체 중생들에게 보낸다. 처음엔 동서남북의 사방(四方)으로, 다음에는 동북·동남·서북·서남방의 사유(四維)로, 그 다음에는 위와 아래로, 이렇게 시방(十方)을 두루 풍성하고 무량한 보편적 사랑의 염으로 메운다.


자비관 수행방법(3)


불교의 우주론에 의하면 이 우주에는 무수한 세계(lokadhaatu)가 있어 무한히 다양한 범주의 중생들이 각기 상이한 진화단계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이 세계에서 작은 반점 하나에 지나지 않으며, 우리의 이 세계는 다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세계를 가진 우주 전체의 미미한 한 점에 지나지 않는다.


그 모든 것에 존재하는 일체 중생들을 향하여 수행자는 가없는 사랑의 염을 방사해야 한다. 이 수행은 자비의 우주적 보편화라는 또 다른 수행방법을 통해 닦게 된다. 

자비의 우주적 보편화는 다음 세 가지의 특수한 방식으로 이루어낸다.


1. 포괄적 방사(anodhiso-phara.naa)

2. 한정적 방사(odhiso-phara.naa)

3. 방향별 방사(disaa-phara.naa)


무애해도 에 따르면 자애의 포괄적 방사는 다섯 가지 방법으로, 한정적 방사는 일곱 가지 방법으로, 방향별 방사는 열 가지 방법으로 닦는다. 그리고 이 열 가지 방향별 방법은 포괄방식의 다섯 범주나 한정방식의 일곱 범주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모든 수행방식에서 앞에 설명한 "그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행복하게 살기를!"이라는 기본 언구 네 가지 중 하나를 쓸 수 있다. 따라서 네 가지 유형의 염을 각각 5범부와 7범주 그리고 120의 방향별 범주에 적용시키면 방사의 방식은 528가지에 이른다. 이들 중 어느 것이든지 선(jh  na)을 이루는 자비수행기법으로 쓰일 수 있다(<청정도론> 9장 58절 참조).


포괄적 방사

포괄적 방사의 다섯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유정들(all beings, sabbe sattaa 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2. "모든 숨쉬는 것들(all those that breathe, sabbe paa.n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3. "모든 생물들(all creatures, sabbe bhuut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4. "모든 개별적 존재들(all those with individual existence, sabbe puggal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5. "몸체로 구현된 모든 것들(all those who are embodied, sabbe attabhaava- pariyaapann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한정적 방사

대상을 한정해서 방사하는 일곱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여성들(sabbe itthiyo)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2. "모든 남성들(sabbe puris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3. "모든 성자들(sabbe ariy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4. "모든 범부들(sabbe anariy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5. "모든 천신들(sabbe dev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6. "모든 인간들(sabbe maanuss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7. "모든 악처 중생들(sabbe vinipaatikaa)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방향별 방사

열 가지 방향별 방사는 시방(十方)의 모든 중생들에게 자비의 염을 보낸다는 뜻이다. 이 방법은 원래 유정(sattaa)의 부류에 적용하는 것이며, 앞에서 든 포괄적 방사의 첫번째 대상들이다. 그러나 이 방법을 더욱 발전시키면 포괄적 방사나 한정적 방사의 각 방도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Ⅰ.  1. "동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2. "서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3. "북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4. "남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5. "동북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6. "서남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7. "서북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8. "동남방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9. "하방(下方)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10. "상방(上方)의 모든 유정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Ⅱ.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숨쉬는 것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Ⅲ.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생물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Ⅳ.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개별적 존재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Ⅴ.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몸체로 구현된 것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Ⅵ.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여성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Ⅶ.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남성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Ⅷ.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성자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Ⅸ.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범부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Ⅹ.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천신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XI.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인간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XII.  1-10. "동방의…상방의 모든 악처중생들이 적의에서 벗어나고, 고통에서 벗어나고, 번민에서 벗어나지이다. 그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해  설


자비를 보편화시키는 기법 중에서 포괄적 방사의 다섯 범주는 가기 삼세간계[三界]에 속하는 모든 생명 있거나, 감각이 있거나 또는 유기적인 존재들의 전 차원을 말한다. 삼세간계란 욕망이 가장 중요한 동기를 이루는, 감각적 존재의 영역인 욕계(欲界, kaamaloka)와 미묘한 형체를 지니고 광채를 말하고 있는 범천(梵天)들의 세계인 색계(色界, ruupaloka) 그리고 순수한 정신적 삶을 누리는, 몸을 갖지 않은 존재들의 세계인 무색계(無色界, aruupaloka)를 말한다. 아무튼 그것을 `중생'이라 하든, `숨쉬는 것'이라 하든, `생물'이라 하든, `개별적인 존재'라 하든, `몸체로 구현된 것'이라 하든 간에 그 모두가 살아있는 존재 전부를 지칭하는 말들이며, 각 용어간의 차이점이라면 생명의 전체를 어떤 특정측면에서 포괄적으로 표현하고 있느냐 하는 그 차이뿐이다.


따라서 각 범주를 영상화시킬 때 수행자는 반드시 그 명칭이 가리키는 특정측면을 유념하고 있어야 한다. 제1, 제2방법을 연습한 다음 계속 엄격한 `정신훈련'의 자세로 마음을 훈련시켜나가면, 이 다섯 가지 불특정의 포괄적 용어들이 갖는 의미가 명확하게 잡힐 것이다. 제1, 제2방법이 충분히 무르익었을 때쯤이면 이미 의식 수준은 충분히 계발되어 일체를 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을 것이다. 의식이 이미 그러하고 또 이들 포괄적 개념의 뜻도 모두 파악하게 되면 우주 차원의 보편화마저 별로 힘들지 않게 될 것이다. 여기서 특히 지적해둘 점은 이제는 더이상 개별적 대상을 영상화하는 것이 아니며, 총체적이고 일체를 포용하는 개념을 영상화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의 방사는 모든 존재, 모든 생물과 같이 개념화된 정신적 대상을 향해 사랑을 무궁무진하게 `흘려보내는 것'이 된다.


다음 한정적 방사의 일곱 개 범주는 각각 생명의 전 영역 중 어떤 부분을 가리키며 각 범주는 다른 범부와 결합해야 전체가 된다. 여기에서 잇티(itth  )는 일반적으로 여성적 요소를 의미하며 천신, 인간, 축생, 아수라, 아귀, 지옥의 모든 여성들을 묶어 말한다. 뿌리싸(purisa)는 모든 존재계에서 볼 수 있는 남성적 요소를 뜻하며 이들 여성과 남성을 합치면 전체가 된다. 또 다른 각도에서 보면, 정신적 승화를 이루어 눈을 뜬 존재들인 성자들과 윤회의 바퀴에 묶여 있는 비성자 또는 세속중생들이 합하여 전체를 이룬다. 성자들은 초월의 길에 들어선 존재들이며, 인간계와 천상계에서 볼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은 유정물의 피라미드에서 머리부분을 차지한다. 세속중생들은 모든 존재계에 걸쳐 있으며 이를테면 피라미드의 바닥부터 정점 바로 아래까지의 몸체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주적 위계질서에서 보면 천신(deva)과 인간(maanussa) 그리고 악처(惡處)에 떨어진 자(vinipaatika)들의 세 범주가 모여 전체를 이루고 있다. 이 우주를 수미산에 비유할 때 그 상층부는 천신들이, 중간층은 인간들이 그리고 하층부는 악도에 떨어진 중생들이 점하고 있는 셈이다.


방향별 방사를 통한 `정신적 훈련', 다시 말해 사방으로 열두 범주의 존재들에게 자비심을 방사하는 이 공부를 해보면 자비의 보편화 공부가 얼마나 가슴 뿌듯한 경험이 될 수 있는지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음속으로 자신을 어느 한 방향을 향하게 한 다음 사랑을 강물처럼 흘려보내어 마침내 삼계를 감싸고 있을 때 그는 문자 그대로 자신의 마음을 삼매 즉 `마음의 집중적 전념(專念)'에 통하는 가장 거룩한 높이에까지 실어나르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이와 같이 전면적 기원을 남들에게 발하여 그들이 적의와 고통 그리고 번민에서 벗어나 행복하게 살기를 기원하고 있을 때, 우리 자신만 진정한 행복으로 가득한 경지로 승화되는데 그치지 않고, 남들에게도 실제로 강력한 염의 진동을 보내어 그들의 행복에 기여하고 적대감을 냉각시키고 고통과 번민을 덜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적 차원의 보편적 사랑은 한편으로는 안녕과 행복을 불어넣으면서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적의, 증오 그리고 분노와 같은 정신적 오염물 때문에 생긴 정신적·육체적 고(苦)를 제거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


7. 자비가 주는 복


"비구들이여, 마음을 해탈로 이끄는 보편적 사랑을 열심히 닦고, 발전시키고, 꾸준하게 되챙기고, 탈것으로 삼으며, 삶의 기반으로 삼으며, 완전히 정착시키고, 잘 다지고 완성시키면 다음과 같은 열한 가지의 복을 기대할 수 있다. 열한 가지란 무엇인가?


편안히 잠자고, 즐겁게 깨어나며 악몽을 꾸지 않는다. 

사람들의 아낌을 받고, 사람 아닌 존재들의 아낌을 받는다. 

천신들이 보호해주며, 불이나 독, 무기의 해를 입지 않는다. 

그의 마음은 쉽게 정(定)을 이룰 수 있으며, 얼굴 표정은 평온하고, 임종시에도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설혹 더 높은 경지를 못 얻더라도 최소한 범천의 세계에는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마음을 해탈로 이끄는 보편적 사랑을 열심히 닦고, 발전시키고, 꾸준히 되챙기고, 탈것으로 삼으며, 삶의 기반으로 삼으며, 완전히 정착시키고, 잘 다지고, 완성시키면 이 열한 가지의 축복을 기대할 수 있다." ( 증지부 , Ⅴ. 342쪽, 11편 제16경)


이 경의 내용을 풀어보면, `마음을 해탈로 이끄는 보편적 사랑[慈心解脫, mettaa- cetovimutti]'은 자비관에 입각한 삼매의 성취를 의미한다. 자비는 마음을 증오와 분노, 자기본위, 탐욕 그리고 미망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켜 주기 때문에 마음은 해방된 상태가 된다. 아무리 짧은 동안이라도 자비관을 닦으면 그때마다 어느 정도로 마음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무한한 마음의 자유를 얻으려면 자비관이 충분히 발전하여 삼매경에 이르러야 한다.


`닦고 발전시키고' 등등의 용어들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자비를 다양하게 적용해나가기란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며, 많은 단련을 통해서 굳건히 다져진 힘이라야 비로소 해낼 수 있다. 그렇게 다져나가려면 정해놓은 명상 시간뿐 아니라 자신의 모든 행동과 말과 생각을 자비행(慈悲行)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에서 `닦는다(aasevita)'는 말은 자비를 닦되 단순히 지적 연습으로써가 아니라 진정에서 우러나는 마음으로 자비에 자신을 맡겨, 이를 자신의 태도와 견해, 행위를 결정짓는 삶의 지도이념으로 여기고 열심히 닦는 것을 의미한다.


`발전시키다(bhaavita)'는 자비관을 닦으면 갖가지 내면적 수양과 정신적 통합의 과정을 거치게 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명상을 하면 갖가지 정신적 능력이 통합되고, 마음도 통일되므로 명상은 바로 마음발전이라고 보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자비관을 닦으면 일체의 정신계가 다 계발되어 결국 마음의 해탈과 인격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고 가르치셨다.


`꾸준히 되챙기다(bahulikata)'함은 깨어있는 동안은 내내 말과 행동과 생각을 통해 자비를 반복하여 닦아야 하며, 뿐만 아니라 자신의 자비를 주시[慈正知]하기를 시종일관 한결같이 진행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말이다. 반복적 행동은 곧 힘의 발생을 뜻한다. 다섯 가지의 정신적 힘[五力]이라 불리는 신념·활력·마음챙김·집중 그리고 지혜가 모두 이 자비관의 반복수행을 통해 훈련, 계발된다.


`탈것으로 삼는다(yaanikata)'함은 자비의 이상을, 인간관계를 풀어나가는 유일하고 정당한 방법이자 정신적 성숙을 이루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일신을 맡겨 수레에 타듯이 전적으로 자비에 위탁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비가 유일한 `교통수단', 유일한 탈것이 될 때 인생은 저절로 자비경에서 말한 대로 `거룩한 주처(住處)'가 될 것이다.


`삶의 기반으로 삼는다(vattikata)'함은 자비를 모든 면에서 자기의 존재기반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그때에 자비는 최고의 휴식처, 안식처, 생의 귀의처가 되어, 법으로 귀의[歸依法]함이 실제로 이루어지게 된다.


`완전히 정착시킨다(anu.t.thita)'함은 자비에 굳게 뿌리박은 삶, 자비에 닻을 내리어 어떤 상황에서도 요지부동한 삶을 뜻한다. 힘들이지 않아도 자비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 실수로 자비의 원칙을 범하는 일마저도 없게 될 것이다.


`잘 다진다(paricita)'는 말은 자비가 습성화되어서 명상시에는 물론, 일상 행동 중에서 애쓰지 않고도 자비심에 잠겨있을 수 있게 됨을 뜻한다.


`완성시킨다(susamaaraddha)'함은 총력을 기울여 고수(固守)하고 계발해서 이루어낸 완성형태를 말한다. 경에서 자비의 열한 가지 복을 들어 상세히 설명한 대로 완벽한 안녕과 정신적 지복을 누릴 수 있는 충분히 통합된 상태의 성취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진실로 자비의 공덕은 크고도 넓다. 부처님을 따르는 사람에게는 자비야말로 언제 어디서나 이롭게 쓸 수 있는 여의주나 다름없다.


8. 자비의 힘


자비를 행하면 스스로 얻는 바 이로움이 많은 것은 더 말할 여지도 없이 분명하다. 안녕, 건강, 마음의 평화, 밝은 모습 그리고 모든 사람들로부터 받는 사랑과 선의 등이야말로 자비관을 닦아서 얻게 되는 크나 큰 인생의 행복이다. 그러나 더욱 경이로운 것은 자비가 주위환경과 다른 존재들에게 미치는 효과이다. 이 자비의 영향을 받는 존재에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동물과 천신들까지도 포함되며, 이를 입증하는 기억해둘만한 얘기들이 빠알리경과 주석서에 실려 있다.


한번은 부처님께서 비구들과 탁발에서 돌아오는 중이셨다. 그들이 감옥 옆을 지나치려하자 부처님의 사촌인 야심 많고 마음씨 고약한 데와닷따에게 매수당한 사형집행인이 범죄자들을 처형할 때 쓰는 사나운 코끼리 날라기리를 풀어놓았다. 흥분한 코끼리가 흉포한 소리를 내지르며 돌진해오자 부처님은 그 코끼리를 향해 강력한 자비의 염을 방사하셨다. 부처님의 시자인 아난다 존자가 부처님의 안전을 걱정한 나머지 자신의 몸으로 부처님을 보호해보려고 앞으로 뛰어나갔다. 그러나 부처님은 자비의 방사만으로 충분하니 옆으로 비켜서라고 분부하셨다. 부처님의 자비방사의 효과가 어떻게나 빠르고 세었던지 코끼리가 부처님 근처에 다가왔을 때는 마치 술주정뱅이가 주문의 마력에 의해 갑자기 술기운에서 깨어나듯 완전히 온순해져 있었다. 코끼리는 마치 서커스에서 하듯이 엎드려서 부처님께 절을 했다고 한다.


<청정도론>은 빠딸리뿌드라(현재의 빠뜨나)에 살았던 위싸카라는 부유한 장자의 일화를 그리고 있다.

그는 스리랑카 섬이 수많은 사원과 탑묘로 덮여있어 진실로 불법의 낙도라고 들은 모양이며, 기후는 온화하고, 사람들은 매우 정의로워 커다란 열의와 진실성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축복받은 곳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위싸카는 스리랑카로 가서 그곳에서 수도승으로 여생을 보내기로 결심했다. 막대한 재산을 처자들에게 다 넘겨준 다음, 금화 한 닢만을 지닌 채 집을 떠났다. 그는 항구도시 담라리삐(현재의 땀루끄)에서 배를 기다리며 달포를 묵게 되자 그 동안 사업수완을 발휘하여 금화 천 냥을 벌었다.


마침내 그는 스리랑카에 도착하여 수도 아누라다뿌라로 갔다. 거기서 유명한 대사(大寺, mahaavihaara)로 찾아가 주지 스님에게 승단에 들고 싶다고 허락을 구했다. 그가 수계식에 참석하러 본당으로 안내받아 가던 중에 허리춤에서 금화 천 냥이 든 지갑이 떨어졌다. "그것이 무엇입니까?"라는 물음에 "예, 저는 금화 천 냥을 갖고 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승려는 돈을 한 푼도 지녀선 안된다는 말을 듣자 "저 역시 한 푼도 갖고 싶지 않습니다. 이 수계식에 오시는 분들에게 나누어 드릴 작정이었습니다." 그리고는 지갑을 열어 온 마당에 뿌리면서 "위싸카의 수계식에 참석한 사람들은 아무도 빈손으로 돌아가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고 말했다.


스승 밑에서 5년을 보낸 후 그는 신통력을 가진 도승들이 많이 사는 유명한 찔딸라빱바따 숲으로 가기로 했다. 그래서 그는 찔딸라빱바따의 정글 사원으로 향했다. 도중에 갈림길을 만나게 되자 어느 길로 가야할까 망설이고 있었다. 그는 자비관을 열성껏 닦고 있던 중이었으므로 어떤 바위에 사는 신령이 손을 내밀어 자기에게 길을 가리켜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찔딸라빱바따의 정글 사원에 이르러 그는 한적한 초막에 자리잡을 수 있었다.


그곳에서 넉 달 동안 머문 다음, 내일 아침에 그곳을 떠나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누군가가 흐느껴 우는소리가 들려왔다. "거기 누구시오?"라고 묻자 포행 길 끝에 있는 마닐라 나무에 사는 신령이 "존자님, 저는 마닐리야입니다(즉 마닐라 나무에 속하는 자라는 뜻)."라고 대답했다. 

"왜 울고 있소?"

"존자님께서 이곳을 떠날 생각을 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내가 여기 사는 것이 당신네들에게 무슨 도움이 되오?"

"존자님, 존자님께서 여기 계시는 한, 신령들이나 그 밖의 다른 비인간들이 서로를 친절하게 대합니다. 그러나 존자님이 떠나시고 나면 그들은 다시 말다툼을 벌이고 싸우기 시작할 것입니다."

"내가 여기 살아서 당신들 모두가 평화롭게 지낸다면 좋습니다."

그래서 다시 그곳에서 4개월을 더 묵었다. 얘기에 의하면 그가 다시 떠나려하자 그 신령은 또 눈물을 흘렸다 한다. 그러다 보니 이 장로는 그곳에 영주하게 되었고 드디어 그곳에서 깨달음을 성취, 열반을 증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자비관 수행이 남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이와 같으며,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존재들에게조차 그처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또 유명한 얘기 중에 암소 이야기도 있다.


어느 숲에서 암소가 송아지에게 젖을 먹이고 있었던가 보다. 그때 마침 어떤 사냥꾼이 그 암소를 잡으려고 창을 던졌는데 그 창은 암소의 몸에 부딪치자 종려 나뭇잎처럼 퉁겨 나왔다고 한다. 이처럼 자비의 힘은 강력한 것이다. 더구나 이것은 자비삼매를 닦아 이룬 사람의 경우가 아니다. 자식에 대한 사랑이라는 단순한 식(識)의 예에 불과하다.


진실로 자비의 힘은 이루 다 말할 길이 없다. 빠알리 경전에 대한 주석서는 승려들뿐 아니라 일반인들이 오로지 비이기적 사랑인 자비의 힘만으로 무기나 독을 위시한 갖가지 위험을 극복해낸 얘기를 얼마든지 담고 있다.


자비를 단순한 정감으로 잘못 알아서는 안된다. 자비는 강자의 힘이다. 만일 사회 각계의 지도자들이 자비를 시험삼아 써보면 어떤 분야를 막론하고 자비보다 더 효율성이 크고 결실도 잘 맺는 원칙이나 행동지침이 다시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매사가 다 사람하기 나름이다. 사람들이 행동방향을 공격과 악의 대신, 자비로 대체시키기로 결정만 하면 세계는 진정한 평화의 안식처로 바뀔 것이다. 이 세계의 평화가 진정한 것이 되고 또 지속적인 것이 되려면 사람들이 스스로 그 자신부터 평화로워지고 남들에게 무한한 선의를 품는 길 말고는 다른 어떤 길도 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편집 후기


숫따니빠따 의 번역은 불교 역경사업에서 난제 중의 난제라는 말이 정말인가보다. 최고의 권위에 도전하는 분들이 저마다 상이한 시각을 보여주고 있으니 말이다 .


여기 자비경 의 번역도 그렇다. 보리수 잎 ·여섯  불교의 명상  말미에 소개했던 번역은 영국 출신 냐나몰리 스님의 영역을 그 저자가 수록했던 것이다. 축어적 번역은 아니었지만, 어쨌든 그 영역에 근거하여 옮긴 것이었다. 그런데 독자들은 이 책에 실린 번역이 그것과 매우 다르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단순한 표현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해석상의 기본적 차이를 볼 수 있는 곳이 몇 군데나 된다. 좀더 정확한 해석여부를 판별하는 문제가 언어학적 영역에 속하는 것인지, 불법(佛法)에 대한 안목의 문제인지, 아니면 그 둘 다의 문제인지 함부로 억단할 수가 없다. 그래서 빠알리 원문과 저자의 영역 그리고 냐나몰리 스님의 영역을 나란히 실어 관심있는 분들의 참고에 보탬이 되도록 했다.


메따를 자비로 옮긴 연유를 잠깐 언급해야겠다. 사무량심(四無量心) 에서 메따는 자(慈)를 의미할 뿐 자비로 옮길 용어는 아니다. 거기서 자비는 어디까지나 자(慈)와 비(悲, karunaa)의 합성어이며, 실제로 mettaa-karunaa란 용례도 있다.그러나 이번 mettaasutta의 경우처럼 별도로 비(悲)에 대한 언급이 없는 채 메따만을 쓰고 있을 때, 이를 굳이 자의 뜻에 한정시킬 필요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우리말에서 `자비'라는 단어가 갖는 함축이, 자 또는 자애(慈愛), 사랑이란 단어들보다 이 경우에 원어와 더 잘 부합된다고 보아 자비로 옮기기로 한 것이다. 즉 여기서 메따는 비의 뜻은 물론 희(喜)와 사(捨)의 뜻까지도 함축하고 있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한 것이다.


 

(사) 고요한 소리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72 번지. 전화: 739-6328, 725-3408, 전송: 723-9804

부산 지부: 051) 513-6650, 대구 지부: 053) 425-4035

메일: calmvs@unitel.co.kr, calmvs@concentric.net 


맨 위로 맨 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