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 사띠를 사용한 삼매 계발 수행 Practice Guide
삼매(三昧)는 고대인도어 사마디(Samādhi)를 한문으로 음사한 것이다. 영어로는 Concentration(집중), Absorption(전념), Ecstasy(황홀경, 무아지경, 무아의 경지) 등으로 번역한다.
삼매는 '한 가지 대상에 대한 순수한 집중을 통하여 마음이 고요해진 상태'를 말한다. 보통 독서삼매에 빠졌다고 할 때, 독서에 대한 정신집중으로 고요한 상태에 빠졌다는 의미이다. 깨어있는 상태로 고요한 것이지 졸면서 고요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무언가 하나의 대상에 심취하여 어느 순간 자기(我)를 잊어버리면 그 무아지경(無我之境, 沒我之境, 삼매)의 행복은 매우 크다. 독서삼매라든가 진짜 삼매와 약간 닮은 상태조차도 매우 행복하다. 음악이나 춤 등에 빠져서 어느 순간 자기를 잊어버리고 어느 정도라도 근사 삼매(무아지경, 몰아지경)의 기쁨과 행복을 한 번이라도 경험해본 사람은 그 기억을 평생 잊지 못한다. 수행이 깊어지면서 경험하는 진짜 바른 삼매(正定)는 그 기쁨과 행복이 더욱 더 크고 차원이 높다.
삼매는 일상의식으로는 알 수도 없고 상상조차도 할 수 없는, 지극한 행복(至福), 신성한 황홀경, 마음의 청정함, 청정한 성스러움, 비이원성, 궁극성, 시간의 멈춤, 시공(시간-공간) 초월 등의 느낌이 부수적으로 동반되는 경험이므로 그 경험은 수행자를 압도한다.
삼매는 절대자, 신, 신격화된 부처, 예수, 알라, 브라만신, 샤머니즘의 장군신, 조로아스터교(중국에서는 불을 숭상한다 해서 배화교라 불렸다)의 거룩한 불의 신.. 등의 은총이나 강림 따위에 의해서 발생하는 초자연적인 경험(신비체험)이 아니라,
언제 하든(BC 500년에 하든 AD 2017년에 하든), 어디서 하든(인도에서 하든 한국에서 하든 미국에서 하든), 누가 하든 상관 없이 조건이 갖춰지면 자연의 법칙에 따라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과학적 경험처럼, 언제 하든 어디서 하든 누가 하든 상관 없이 조건이 갖춰지면 자연의 법칙에 따라 누구에게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마음의 몰아 고요집중 상태'에 대한 경험이므로 일종의 과학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쉽게 체험할 수 있는 그런 경험은 아니다.
.
몸과 마음의 '행(行)을 닦음(修)'이라는 뜻을 지닌 '수행(修行)'은 '경작하다, 계발(열고 발전향상)하다'라는 뜻을 지닌, 붓다가 사용한 고대인도어 '바와나(Bhāvanā)'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우리에게는 수행이라는 말이 매우 익숙하니 바와나는 '계발 수행', 팔정도 바와나는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 정도로 표현하면 그 의미가 유사하다.
삼매(사마디; 몰아 고요집중) 상태를 경험하게 하는 수행(수련, 훈련)을 붓다는 '사마디(삼매) 바와나(계발 수행) = 사마타'라고 지칭했다. 붓다는 팔정도를 '바와나(계발 수행)'의 측면에서 세 부분으로 그룹핑하여 가르쳤는데, 삼매(사마디)를 계발하는 수행을 지칭하는 사마타(사마디 바와나)는 '정정진(바른 노력/정진), 정념(바른 사띠), 정정(바른 삼매)' 바와나(계발 수행)를 통칭한 것이다
붓다는 삼매를 색계(물질을 집중 대상으로 한) 삼매와 무색계(비물질을 집중 대상으로 한) 삼매로 구분하고, 색계 삼매를 자나(jhāna, 선禪; 선禪은 자나..선나..선으로 변천된 자나의 한문 음사)이라고 지칭했다. 한문 경전에서는 대개 자나를 선정(禪定)이라고 하는데, 정(定)은 사마디를 한문으로 번역(의역)한 것이니, 엄밀히 말하면 선정(禪定)은 '자나사마디'(선삼매禪三昧)다. (이하 '색계 삼매, 자나, 선禪'을 '선정 또는 선정 삼매'로 표기함)
붓다는 선정 삼매를 계발하는 수행의 집중 대상은 반드시 탐진치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자신이 가르친 여러 가지 집중 대상 중에서 호흡(아나빠나)이 가장 수승(훌륭)하다고 추천했다. 즉 붓다는 '호흡(아나빠나, 들숨날숨)에 대한 사띠'를 통해서 바른 선정 삼매를 계발하는 방법을 가장 추천했다.
왜냐하면 호흡은 우리 몸에 있는 수 많은 작용(신체 작용) 중에서 '무의식적인 작용이면서도 의식적으로 할 수 있는' 또한 '자연적인(자동적인) 작용이면서도 의도적으로 할 수 있는' 유일한 작용이며, 탐(갈망)•진(혐오)•치(탐, 진에 대한 집착의 어리석음)를 일으키지 않는 작용으로 죽을 때까지 우리 몸에 항상 있는 작용이기 때문이다.
선정 삼매를 계발하는 수행에서 호흡은 사띠(알아차림)를 거친 수준(거친 감각, 의식/일상의식/표면의식 수준)에서 미세한 수준(미세한 감각, 무의식/잠재의식/심층의식/아뢰야식/바왕가 수준)으로 건너가게 하는 아치형태의 다리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하의 내용은 아나빠나 사띠를 사용해서 선정 삼매를 계발하는 수행(사마타; 사마디 바와나, 정정진·정념·정정 계발 수행)의 구체적인 실천에 대한 것이다.
• 옷은 벨트가 없는 헐렁하고 편한 옷이 좋다.
• 식사는 오전 11시경에 아점으로 한 끼만 먹는 오후불식의 1일1식이 좋다.
• 잠자리는 빛이 차단된 고요한 곳이 좋다. 새벽 4시경에 일어나서 밤 9시경에 자는 생활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 집중수행 기간 동안은 반드시 묵언함이 좋다.
• 앉기 전 후에 간단한 요가(몸살리기운동 중 몇 가지 등), 절(108배 등), 포행(5~30분) 등을 하면 좋다.
• 앉은 자세 : 일상생활의 습관(자세)에 따라 평좌, 반가부좌, 결가부좌 중에서 오래 앉기에 편한 자세로 한다. 허리를 곧추세우고 몸의 수직과 수평을 맞춘다.
; 1..3..5..10..20..40 분에 한 번 정도로 몸의 미세한 조정(튜닝; 남이 보면 거의 움직이지 않는 듯한 조정)을 통해 몸의 수직과 수평을 유지한다. 사실 가끔 하는 집중수행이라면 처음 1~3일 정도는 몸을 만드는 과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방석 : 0.5~3 cm 두께. 방석은 가능한 한 얇은 것이 좋다. 앉는 시간이 30분 정도 늘어날 때마다 0.5 cm씩 추가하되 3 cm를 넘지 않도록 한다. 엉덩이 받침은 자세에 익숙해질수록 엉덩이에 조금(1~5 cm) 걸치게 그리고 점점 낮게 받치고 결국에는 안 받치는 것이 좋다.
• 아나(들숨)-아빠나(날숨), 호흡을 의도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호흡을 사띠(전념하여 알아차림) 한다.
; 평상시에 호흡을 10분 이상 알아차리는 행위는 해보지 않기 때문에 처음 1~3분은 잘 되지만 1시간 이상 호흡만을 사띠 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 호흡을 상상이나 생각으로 알아차리지 않는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이것도 그리 쉽지 않다.
• 호흡에서 발생하는 몸의 웨다나(판단 분별이 일어나기 전의 감각, 순수 감각)를 '있는 그대로 또렷이' 알아차린다.
- 예컨대, (1)윗입술 위-콧구멍 아래, (2)콧구멍 입구, (3)콧구멍 내부 터널에서 들숨과 날숨의 '부딪힘과 접촉'(웨다나; 예컨대 차갑다 뜨겁다 따위의 판단 분별된 감각이 아닌 판단 분별이 일어나기 전의 감각, 순수 감각)을 '있는 그대로 또렷이' 알아차리도록 노력한다.
- 1~2일차 : 아직 사띠가 거칠기 때문에 (2), (3)에서 들숨과 날숨의 '부딪힘과 접촉'(웨다나; 순수 감각)을 '있는 그대로 또렷이' 알아차리도록 노력한다.
- 3일차 이후 : (2), (3)에서 미세한 웨다나를 전념하여 알아차리는 사띠가 어느 정도 계발되면 (1)에서 들숨과 날숨의 '부딪힘과 접촉'(웨다나; 순수 감각)을 '있는 그대로 또렷이' 사띠 한다.
- (1)에서 들숨과 날숨의 '부딪힘과 접촉'이 알아차려지지 않으면, (1)에 마음의 주의집중을 계속 둔 상태에서 마음을 고요히 하고 기다린다. 그래도 알아차려지지 않으면 수 차례 호흡을 약간 세게 하며 전념하여 알아차리고 다시 자연스러운 호흡으로 되돌아온다.
• 호흡의 웨다나(순수 감각)에 대한 고요집중의 사띠가 어느 정도(1~10분 이상) 지속되면 영상(문양.. 빛 등)이 (자기의지와 상관없이) 떠오르는 경우가 많다. 영상이 story로 발전하면 상상(생각, 망상)이다. 영상이 story로 발전하지 않으면 영상이 있거나 없거나 관심을 두지 말고(영상을 없애려는 생각을 내지 말고) 호흡의 웨다나(순수 감각)를 사띠 한다.
• 생각(망상, 상상)이 일어나면 미소를 짓는다. 미소 짓기는 수행에 매우 큰 도움을 준다. 수행 전 후에 큰 미소가 잘 지어지도록 손을 사용해서 얼굴(귀 포함) 근육 훈련을 1분 이상 한다.
• 호흡의 웨다나(순수 감각)만을 생각(망상, 상상) 없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사띠할 수 있으면, 사띠의 수준이 어느 정도 잘 계발된 것이다. 사실 이 정도로 수행이 깊어지면 수행 도중에는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 대략적으로 추정하기도 어렵다. (1~2 시간 정도의) 수행을 마친 직후에 수행을 반조하고 그 시간을 대략적으로 추정해 본다.
• 수행이 이 정도 수준 이상이 되면 호흡의 웨다나(순수 감각)를 잘 알아차리려는 의도적인 노력(자기 의지의 표현인 의도적인 집중, 의도적인 노력)보다도 고요함이 주는 심신의 행복감에 온몸을 맡기고 고요함을 잘 유지함으로써 '고요함과 자연적인 집중'이 저절로 깊어지게 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 진다.
.
이 이상의 수행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인의 수행이 더 잘 경험되고 더 잘 숙달된 이후에 언급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사마타(사마디/삼매 계발 수행)의 단계가 깊어지면 '나(我)'의 의지의 표현인 노력조차도 놓아버리는 것이 바른 노력(정정진)이다. 수행이 깊어 질수록 '나(我)'의 의지의 표현인 의도적인 노력조차도 미세한 집착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붓다가 정정진(바른 노력/정진)을 팔정도의 한 부분으로 사마타(사마디/삼매 바와나; 정정진·정념·정정 계발 수행)에 포함시켜 가르친 이유이기도 하다.
.
수행은 마음(정신작용)의 습관적 반응(or 작용; 상카라, 行)을 바꾸는 것이다. 머리로는 이해를 했더라도 습관을 바꾸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고 오래된 습관을 바꾸는 데는 반복적이고 꾸준한 바른 실천(수련, 훈련, 연습, training)이 필요하다.
수행은 헬스장에서 근육을 키우는 훈련과 유사한 면이 있다. 수행은 일종의 정신근육을 키우는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바른 수행은 시간이 지날수록(정신근육이 바르게 키워질수록) 쉽고 즐겁고 행복해 진다.
.
붓다는 자신의 가르침(담마, 다르마, 설법; 법을 설명함)을 뗏목, 안내판에 비유했다. 붓다는 팔정도 바와나(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가 어느 단계 이상으로 깊어지면 자신의 가르침조차도 참고서일 뿐, 각자 스스로의 바와나-마야-빤냐(수행지혜, 통찰지혜; 수행의 통찰 경험에 의해서 생기는 지혜, 통찰지)를 완성하라고 누누이 당부했다.
붓다의 가르침(설법, 경전; 안내판)이 매우 훌륭하기는 하지만 안내판(경전)의 detail에 집착하거나 안내판(경전)을 절대화(목적화) 해서 목적지(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붓다가 누누이 당부했듯이 경계해야 한다.
근자에 남방 불교국가들의 수행센터에서 아비담마[붓다의 가르침(담마)에 대한 주석서, 참고서, 보조 자료]를 수행의 '부동의 준거'라고 표현하며 절대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매우 경계해야 한다.
그렇다고 아비담마를 무시하라는 것이 아니라 바르게 참고하여 각자의 '팔정도 바와나, 즉 실라(정어·정업·정명 계발 수행)-사마타(정정진·정념·정정 계발 수행)-위빠사나(사마타 후에 하는 깊은 정견·정사유 계발 수행)'를 바르게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자의 깨달음의 증득(증명경험으로 득함)은 붓다나 아비담마 저술자의 경험이 아니라 개개인 각자의 경험인 바, 깨달음에 이르는 길(과정)의 인과 연기적인 경험은 누구나 완전히 같지도 완전히 다르지도 않지만 어쨌든 붓다나 아비담마 저술자의 경험이 아니라 개개인마다 다른 각자의 경험이기 때문이다.
붓다가 누누이 강조했듯이 스스로의 경험으로 계발한 통찰 경험의 지혜(통찰지)만이 무명을 완전히 부수고 정각(완전한 바른 깨달음); 완전한 자유(해탈)와 평화(우빽카), 분별 집착 없는 지혜(빤냐/반야)로운 바른 사랑(멧타-까루나/자비)과 완전한 행복(니르바나/열반)의 경지(상태)를 증득(증명경험으로 득)하게 한다.
.
처음 '팔정도 바와나'(실라-사마타-위빠사나)를 접하는 사람은 팔정도 바와나에 대한 변질되지 않은 붓다의 바른 가르침(正法)을 잘 가려서 자꾸 읽고 듣고 사유하면서 스스로 점점 더 명확하게 이해하여 숙지하고, 전문 수행처에 가서 수행을 체험하고 질문을 하며 일단은 친숙해져야 한다.
학문은 정보(지식, 앎)를 날로 더해야 발전이 있고, 수행은 날마다 정보(지식, 앎)를 덜어내야 발전이 있다지만 그것은 어느 단계 이상으로 수행이 깊어진 후에 이야기다. 처음 수행하는 사람은 바른 정보(正法; 붓다의 바른 가르침)를 스스로 명확하게 이해하고 숙지해야 한다. 알 만큼 알고 익숙해져야 앎(지식)을 버릴 수 있다.
알고..버리고..깨달으리. '팔정도 바와나'[註]를 바르게 닦아서 !
____________
[註] '팔정도 바와나' : 몸과 마음의 '행(行)을 닦음(修)'이라는 뜻을 지닌 '수행(修行)'은 '경작하다, 계발(열고 발전향상)하다'라는 뜻을 지닌, 부처님께서 사용하신 고대인도어 '바와나(Bhāvanā)'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입니다. 영어로는 'Meditation(명상 수행), mental development(정신 계발), developing by means of meditation, cultivation by mind, culture(경작하다, 배양하다), increase(향상하다, 상승하다)' 등으로 번역합니다.
우리에게는 수행이라는 말이 매우 익숙하니 바와나는 '계발 수행', 팔정도 바와나는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 또는 '정각(완전한 바른 깨달음)으로 가는 여덟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른 길을 계발하는 수행' 정도로 표현하면 그 의미가 유사합니다.
부처님께서는 팔정도를 '바와나(계발 수행)'의 관점에서 계(戒, 실라; 정어·정업·정명)•정(定, 사마디/삼매/선정; 정정진·정념·정정)•혜(慧, 빤냐/반야/지혜; 정견·정사유) 세 그룹으로 그룹핑하시고,
설법(법法을 설명)하실 때의 편의를 위하여 '사마디(삼매/정定/선정; 정정진·정념·정정) 바와나(계발 수행)'를 사마타, '사마타 후에 하는 깊은 빤냐(반야/혜慧/지혜/통찰지혜; 정견·정사유) 바와나(계발 수행)'를 위빠사나라고 명칭하셨습니다. ('실라 바와나'는 실라)
--
사진 : TIME Magazine Cover, 'The Science of Meditation'(명상 수행의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