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DDHISM/아비담마 길라잡이

아비담마 길라잡이 - 서문 2. 책의 제목

 

2. 책의 제목 

  그럼 먼저 ‘아바담맛타 상가하’의 문자적인 뜻부터 살펴보자. 아비담맛타 상가하(abhidhammattha-san#gaha)는 abhidhamma(아비담마)+ attha(앗타) + san#gaha(상가하)의 셋이 합성된 단어이다. 레디 사야도는 『아비담맛타 상가하』의 주석서인 『빠라맛타디빠니 띠까(Paramatthadiipanii t*iikaa)』에서 아바담맛타 상가하를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아비담마에서 설해진 주제(혹은 의미)들을 아비담맛타라 한다. 본[서]에서 혹은 본[서]를 통해서 [아누룻다] 스님이 이것들을 요약하여서 파악하고 설명했기 때문에 아비담맛타 상가하라 한다” (abhidhamme vuttaa atthaa abhidhammatthaa. te san#gayhanti ettha etenaa ti vaa abhidhammatthasan#gaho. san#gayhanti ti ca therena sam*khipitvaa gayhanti kathiiyantii ti attho. - Pt*.I.1) 
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럼 이제 이 세 단어의 의미를 하나씩 알아보자. 먼저 앗타(attha)부터 살펴보자. 범어일반에서 앗타(attha, Sk. artha)는 다양한 뜻으로 쓰인다. 초기불교에서는 주로 ① ‘이로운 것, 이익’ ② ‘뜻, 의미’ ③ ‘이치, 도리, 목표, 이상’이라는 세 가지 뜻을 나타낸다. 

  ⑴ ‘이로움’의 뜻으로 쓰일 때는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로움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bahujanahitaaya bahujanasukhaaya lokaanukampakaaya atthaaya hitaaya sukhaaya devamanussaanam. - M4/i.21 등)라는 문맥 등에 많이 나타난다. 

  ⑵ ‘뜻, 의미’로는 “의미와 표현을 구족하여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고 지극히 청정한 범행을 드러낸다” (saattham* sabyan$janam* keval!aparipun*n*am* parisuddham* brahmacariyam* pakaaseti. - M27/i.179 등)라는 정형구에서 보듯이 ‘의미(attha)와 표현(byan$jana)’이라는 문맥에서 많이 쓰인다. 

  ⑶ ‘이치, 이념, 이상, 목표’의 뜻으로 쓰일 경우에는 “궁극의 이치를 청정하게 한다” (so attho paramo visujjhati. - It. 98) 등으로 나타나며 특히 아비담마에서는 빠라맛타(paramattha, 궁극의 이치, 궁극적 실재)라고 정착이 되었고 중국에서는 勝義로 번역하였다. 이렇게 본다면 이 세 가지 뜻이 모두 아비담맛타의 앗타에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서에서 attha는 인도의 육파철학, 특히 논리학에서의 빠다르타(padaartha, Paali: padattha, 논의의 주제, 즉 그 파에서 주장하고 공부하고 논의하고 관심을 가지는 근본주제)와 일맥상통하는 술어로 보는 것이 문맥에 맞다. 예를 들면 인도의 나이야이까(논리학파, Naiyaayika)에서는 16가지로, 와이세시까(Vais#es*ika, 勝論) 학파는 7가지로, 상캬(Saan#khya, 數論) 학파는 25가지로, 웨단따(Vedaanta) 학파에서는 2가지로 자기 학파의 논의의 주제를 설정하여 이를 ‘빠다르타(padaartha)’로 명명하고 있다.(ApteD, s.v. padaartha.) 자이나(Jaina) 교리의 부동의 준거가 되는 『땃뜨와아르타 아디가마 수뜨라(Tattvaarthaadhigama Suutra)』에서는 지와(jiiva, 영혼), 아지와(ajiiva, 비영혼=물질) 등의 일곱 가지를 ‘진리의 주제(tattvaartha)’라는 이름으로 정리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인도 제사상과 종교에서는 각 파의 근본 이념이나 논의의 주제나 모토들을 padaartha라거나 tattvaartha 등으로 불러온 것이다. 그러므로 아비담맛타(Sk. abhidharma-artha)도 ‘아비담마에서 논의되는 여러 주제들’이란 뜻으로 봐야 한다. 본서에서 아누룻다 스님은 이들 논의의 주제를 아홉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에 관련된 주제와 법들을 상세하게 열거하고 있다. 

  다음은 상가하(san#gaha)에 대해서 살펴보자. 산스끄리뜨 상그라하(san#graha)의 빠알리식 표기인 상가하(san#gaha)는 sam*(함께)+√grah(to take)에서 파생된 명사로서 문자적으로는 ‘함께 모은 것’이란 의미이다. 이 상그라하(빠알리. 상가하)는 인도대륙에서 8세기쯤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특정 형태의 문헌의 한 장르이다. 예를 들면 인도에서 베다는 아주 중요한 문헌이다. 이 베다문헌은 고대로부터 삼히따(Sam*hitaa, 本集), 브라흐마나(Braahman*a, 祭儀書), 아란냐까(aaran*yaka, 森林書), 우빠니샤드(Upan*is*ad, 秘義書)의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해왔다. 이 베다, 특히 베다 본집(Sam*hitaa)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불교가 태동하기 전부터 음운(S#iks*aa), 제사(Kalpa), 문법(Vyaakaran*a), 어원(Nirukta), 운율(Chandas), 점성술(Jyotis*a)의 여섯 가지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되었고 그것이 베당가(Vedaan#ga)라는 여섯 갈래로 정착이 되었다. 

  그리고 같은 시대에 이미 4베다의 각파에 속하는 방대한 분량의 브라흐마나(제의서) 문헌들이 제사(yajn$a)를 거행하는 각파의 역할을 중심으로 여러 문파에서 편찬되었다. 너무 방대하고 복잡한 이들 제의서들은 다시 수뜨라(Suutra)라 불리는 간결한 형태의 문헌의 장르로 각파마다 다시 요약, 편집되었다. 그러나 이 수뜨라는 너무 간결하여 주석서가 없으면 이해하기가 힘들어 다시 이 수뜨라에 대한 주석서들이 편찬되었다. 그렇게 되자 다시 이 방대한 문헌을 요약하고 간추려서 후학들의 학문에 지남이 되고 길라잡이가 되는 간결한 문헌을 만들 필요가 절실해졌다. 이렇게 해서 등장한 것이 바로 상그라하라는 장르이다. 물론 이 상그라하 역시 더 후대에 여러 주석서들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인도 문헌들은 방대해지면 압축하고 압축한 것에 주석이 첨가되어 다시 번잡해지면 다시 압축하고 하면서 전승되어 내려온 것이다. 그래서 베다의 미맘사(Miimaam*saa, 제사학)를 간략하게 집대성한 문헌으로 『아르타 상그라하(Arthasan#graha)』가 유명하고 냐야(Nyaaya, 논리학)를 간략하게 집대성한 『따르까 상그라하(Tarkasan#graha)』가 논리학 입문서로 초보자들에게 널리 가르쳐지고 있으며 웨단따 철학을 압축한 것으로는 『웨단따 상그라하(Vedaantasan#graha)』가 있다. 그리고 북방 아비다르마를 압축해 놓은 것으로는 샨따락쉬따(/aantarak/ita) 스님의 『땃뜨와 상그라하(Tattvasan#graha)』가 유명하다. 

  이런 경향은 남방불교 안에서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다양한 근기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편으로 설해진 부처님의 가르침은 수뜨라 형태의 마띠까(Maatikaa, 論母)라는 이름으로 간결하게 정리가 되었고 이것은 다시 아비담마 칠론(七論)으로 확장되었다. 이것은 다시 주석서(At*t*hakathaa)와 복주서(t*iikaa)가 첨가되어 방대한 분량이 되었다. 그래서 아비담마를 배우려는 초학자들은 그 방대함에 움츠려들게 된다. 그래서 일찍부터 『아비담마 아와따라(Abhidhammaavatara, 아비담마 입문, 5A.D)』나 『나마루빠 빠릿체다(Naamaruupapariccheda, 名色分析)』 등의 많은 입문서나 개설서들이 나오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에 주석서들이 또 첨가되면서 그 분량은 다시 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아비담마 전체를 아우르고 간결하게 설명해 주는 길라잡이가 절실하게 되었다. 여기에 부응하여 나타난 것이 바로 『아비담맛타 상가하』이다. 

  남방불교는 아비담마 칠론으로 체계화되고 정착되면서 『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無碍解道)』로 전개되고 싱할리 주석서들로 논의되고 설명되면서 다양한 견해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붓다고사 스님이 『청정도론』과 여러 주석서(At*t*hakathaa)들로 정리하였으며 이는 다시 아난다(AAnanda)나 담마빨라(Dhammapaala) 스님 등이 복주서(t*iikaa)들을 편찬하여 심화되고 방대해졌다. 그 후에도 수많은 저술로 더욱더 번쇄하게 된 아비담마를 간략하고 더욱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할 필요에서 탄생된 것이 바로 이 『아비담맛타 상가하』이다. 이런 요구에 부응해서 『아비담맛타 상가하』가 나타나자 자연스럽게 아비담마의 논의의 순서와 가르침은 지금까지 이 책에 근거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청정도론』과 함께 남방 아비담마의 부동의 준거로서 자리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담마상가니(법집론)』와 『위숫디막가(청정도론)』에서는 89가지 마음의 분류를 마띠까에 나타나는 전통적인 선/불선/무기의 순서에 따라 설명하지만 본서에서는 욕계/색계/무색계의 순으로 바꾸어서 일목요연하게 설하며, 그 후 지금까지 89/121가지 마음은 모두 이 『상가하』의 방법대로 설명하고 있다. 또 인식과정이 17심찰나로 고정이 되는 등 후대 아비담마의 부동의 준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맨 위로 맨 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