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각(正覺)에 이르는 바른 실천 [팔정도 바와나의 완성 단계] (A)
몸과 마음의 '행(行)을 닦음(修)'이라는 뜻을 지닌 수행(修行)은 '경작하다, 계발(열고 발전향상)하다'라는 뜻을 지닌, 부처님께서 사용하신 고대인도어 '바와나(bhāvanā)'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우리에게는 수행이라는 말이 매우 익숙하니 바와나는 '계발 수행', 팔정도 바와나는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 또는 '정각으로 가는 여덟(八)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른(正) 길(道)을 계발하는 수행' 정도로 표현하면 그 의미가 유사하다.
부처님께서 설(설명)하신 수행(팔정도 바와나)의 바른 이해와 바른 실천을 위해, 빠알리어(갠지스 강 유역의 고대인도의 민중어 중 하나로 부처님 말씀을 경전으로 기록하던 당시에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고대인도 민중어)로 기록된 경전모음인 니까야와 한문 번역 경전 그리고 한글과 영어 번역 경전 등의 관련 내용을 참조하여
부처님께서 설(설명)하신 '팔정도 바와나의 완성' 단계와 관련된 가르침(설법; 법을 설명함)을 오늘날의 용어를 함께 사용해서 우리말로 소상히(분명하고 상세하게) 서술하여 옮기면 다음과 같다
.
[5] 팔정도 바와나(계발 수행)의 완성 단계
부처님께서는 팔정도 바와나를 '여덟 개의 바퀴살로 이루어진 바퀴가 순환하며 구르는 것'에 비유하셨다. 훗날 여덟 개의 바퀴살로 이루어진 법륜(法輪; 법의 바퀴)은 불교(佛敎; 부처님 가르침)의 상징(symbol)이 되었다
마치 여덟 개의 바퀴살로 이루어진 바퀴가 '순환'하며 구르듯이 실라('계; 정어·정업·정명' 바와나)-사마타('정; 정정진·정념·정정' 바와나)-위빠사나(사마타 후에 하는 깊은 '혜; 정견·정사유' 바와나)를 연기(조건에 따른 상호 의존) 방식으로 반복 '순환'해서 바르게 실천함으로써 팔정도의 여덟 부분(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을 계발(열고 발전향상)하여
결국에는 삼명(三明, 세 가지 밝은 지혜)[註1]으로 정각(正覺)[註2]을 증득함과 함께 팔정도 전체와 바른 지혜(반야, 빤냐; 실상과 진리를 '있는 그대로' 바르게 아는 바른 지혜)와 바른 사랑(자비, 멧따-까루나; '나我'를 초월한 분별 집착 없는 지혜로운 바른 사랑)을 완성하고, 완전한 자유(해탈; 모든 번뇌, 괴로움, 苦로부터의 완전한 해방, 모든 속박으로부터의 완전한 자유)와 완전한 평화와 완전한 행복(열반)의 경지(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
부처님께서는 '팔정도 바와나(계발 수행), 계(戒, 실라; 정어·정업·정명)-정(定, 사마디; 정정진·정념·정정)-혜(慧, 빤냐; 정견·정사유) 계발 수행, 실라-사마타-위빠사나'가 '연기(조건에 따른 상호 의존) 방식'의 바와나(계발 수행)라고 누누이 강조하셨다.
실라('계; 정어·정업·정명' 바와나)-사마타('정; 정정진·정념·정정' 바와나)-위빠사나(사마타 후에 하는 깊은 '혜; 정견·정사유' 바와나)가 마치 여덟 개의 바퀴살로 이루어진 바퀴가 구르듯이 연기방식으로 구르면서 정각을 향해 굴러간다.
팔정도의 여덟 부분의 순서는 팔정도 바와나에서 의미가 있기도 하고 의미가 없기도 하다.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어느 한 방향에 무게 중심을 둘 수도 있다. 그것은 자신의 근기(根機)[註3]나 처한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스스로 결정할 문제다
달리 표현하면 '팔정도는 정각을 향해가는 팔차선 도로'다. 정견을 완성한 후에 정사유를 완성하고 정사유를 완성한 후에 정어를 완성하는 식의 '직렬 방식의 일차선 도로'가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직렬 방식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상호 의존(연기)해서 함께 발전 향상해 가는 '병렬 방식의 팔차선 도로'다
팔정도의 여덟 부분 각각이 연기(조건에 따라 서로 상호 의존)하여 서로를 계발(열고 발전향상)시키고 반야(빤냐; 바른 지혜)와 자비(멧타-까루나; 바른 사랑)를 계발시켜서 결국에는 팔정도 전체의 완성과 함께 정각을 이루고 반야와 자비가 함께 완성되는 것이다
.
부처님께서는 삼명(三明; 세 가지 밝은 지혜)으로 무상정등각(줄임말로 정각; 위 없이 평등하고 완전한 바른 깨달음)을 증득(증명경험으로 득)하시고 난 후에
당신께서 시행착오를 겪으시며 암중모색하시어 완성하신 수행경험을 '경험적+합리적'( = 과학적)으로 정리하시어 당신과 같은 무상정등각(정각)에 도달하는, 달리 말하면 당신과 같은 깨달은 자(부처)가 되는 '여덟(八)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른(正) 길(道), 줄임말로 팔정도(八正道)'라고 이름 붙이시고, 그 바른 길(팔정도)을 바와나(경작하여 계발)하는 '팔정도 바와나'(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를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사람들에게 가르치셨다.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팔정도 바와나(정견·정사유-정어·정업·정명-정정진·정념·정정 계발 수행, 계-정-혜 계발 수행, 실라-사마타-위빠사나)의 가르침을 따라 많은 사람들이 정각을 증득한 사람(아라한)이 되었다 (이른바 십대제자를 포함한 천이백 아라한)
부처님 재세 당시의 인구 추정치와 역사적 자료를 참고한 학자들의 추정치에 의하면 부처님께서 활동하셨던 갠지스강 중북부 지역에서 사문(재가, 출가를 포함해서 부처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는 사람)의 수효가 약 십만 명 정도였다고 하니 그 중에서 약 천 명 정도(백 명당 한 명 꼴)를 당신과 같은 아라한(부처님도 아라한입니다. 스승으로서의 능력이 매우 뛰어난 아라한)으로 이끌었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들 아라한들 중에는 스승으로서의 능력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분석력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논리력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토론 능력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두타행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청소를 잘하는 사람도 있고, 브라만 계급도 있고, 크샤트리아 .. 불가촉천민 계급도 있다. 부처님을 포함한 아라한들은 그 출신과 근기(경험, 소질, 적성, 성향, 취향, 성격, 여러가지 능력 등)는 모두 다르지만 완전한 깨달음을 증득하여 완전한 자유(해탈)와 평화, '나'(또는 아상)를 초월한 분별 집착 없는 완전히 지혜로운 바른 사랑(자비)과 완전한 행복(열반)의 경지(상태)에 머무는 사람이 되었다.
.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실천법(수행법)인 팔정도 바와나(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는 실천이기 때문에 문헌(기록물, 경전)의 이해만으로는 구체적인 실천상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부처님의 직접 저술을 보면서 직강을 듣거나 직접 지도를 받으면 좋을 텐데 부처님께서는 직접 저술을 하지 않으셨고 적멸하신지 2500년이 지나면서 기록물의 변형(후대 제자들에 의한 경전 기록과정의 오류와 경전 번역과정의 오류, 언어의 시대적 변천, 신조어 사용에 따른 변형 등을 포함한 개인적 집단적 변질 변형)이 있으므로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팔정도 바와나를 바르게 배우고 바르게 이해하고 바르게 실천하는데 어느 정도 문제가 있다.
다행스러운 점은 부처님 가르침은 매우 경험적이고 합리적이고 논리적이기 때문에 그리고 부처님께서 구사하신 언어는 매우 소박하면서도 적확(적절+명확)하기 때문에, 인간의 개인적 집단적 욕망(탐진치, 사리사욕) 때문에 변질된 부분을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관점에서 잘 걷어내고 보면 바르게 공부하고 바르게 이해하기가 가능하며 또한 바르게 실천(수행)한 결과(성과, 성취)를 경험적으로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수행의 중간 과정에서도 식(識; 앎, 알음알이; 의식/일상의식/표면의식 + 무의식/잠재의식/심층의식/아뢰야식/바왕가)의 착각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정도 만큼, 특히 아상(我相; ‘나我’라는 상대相적 분별식, 에고심)의 착각과 집착 그리고 탐(갈망, 탐욕), 진(갈망의 다른 측면인 혐오, 증오, 분노, 화, 두려움), 치(갈망과 혐오, 탐·진에 대한 집착과 어리석음)가 줄어드는 정도 만큼 저마다의 자유와 평화, 분별 집착 없는 지혜로운 바른 사랑(자비)과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이 부처님께서 당신의 가르침을 '처음도 중간도 끝도 좋은 가르침'이라고 하신 이유다.
.
구체적인 팔정도 바와나의 실천, 특히 사마타('정定, 사마디/삼매; 정정진·정념·정정' 바와나)와 위빠사나(사마타 후에 하는 깊은 '혜慧, 빤냐/반야; 정견·정사유' 바와나)의 실천은 문헌상의 기록만으로는 실천상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시행착오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바른 수행경험을 갖은 바른 수행자(스승, 선지식)의 지도를 받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
스승을 택할 때 반드시 유의할 점은 팔정도 바와나(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에 대한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正法)이 기록된 경전을 기준으로 바른 스승(수행자, 선지식)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서 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바르게 실천하고 가르치는 바른 스승(수행자, 선지식)을 찾지 못했다면 그런 스승을 찾을 때까지 (도반이 있다면 도반과 함께)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正法)이 기록된 경전에 의지해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는 편이 났다.
어쨋든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면, 처음에는 비록 지식차원의 피상적인 이해라 해도 스스로 실천할 마음을 갖게 되고, 실천하면 이해가 더 깊어지고 다시 더 깊은 실천을 하게 되어, 결국, 지식차원의 피상적인 이해(문혜聞慧, 사혜思慧)는 팔정도 바와나(실라-사마타-위빠사나)의 구체적인 실천경험을 통해서 자신과 세상의 실상과 진리를 여실히(있는 그대로) 꿰뚫어 보는 통찰지혜(바와나빤냐/수혜修慧; 수행의 통찰경험에 의해서 생기는 지혜)가 된다
팔정도 바와나(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를 바르게 실천하여 스스로의 통찰경험으로 완성한 바와나빤냐(수행지혜/통찰지혜; 수행의 통찰경험에 의해서 생기는 지혜)만이 무명을 완전히 부수고 정각을 증득(증명경험으로 득)하게 한다
.
--
[註1] 삼명(三明; 세 가지 밝은 지혜) : 삼명(三明)이란 정각(또는 아라한과)을 성취한 사람이 갖게 되는 세 가지 밝은 지혜다. 삼명(三明)을 이루면 정각을 증득한 자(부처, 아라한)가 된다.
상세한 내용은 '정각(正覺)에 이르는 바른 실천 [팔정도 바와나의 완성 단계] (B)'에 수록.
[註2] 정각(正覺) : 정각(正覺)은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위 없이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 또는 無上等正覺; 위 없이 평등하고 완전한 바른 깨달음)의 줄임말이다.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은 고대인도어 'Anuttara-samyak-sambodhi'(한문 음사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한문으로 번역(의역)한 것이다. 여기서 「아」는 무無, 「뇩다라」는 상上,「삼」은 정正,「먁」은 등等,「보리」는 각覺이라는 뜻이다.
[註3] 근기(根機) : 근기(根機)는 고대인도어 'indriya paṭicca'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면서 살아온 경험, 수행한 경험 등등의 모든 경험과 그로 인해 형성된 소질, 적성, 성향, 성격과 여러 가지 능력(이해력, 집중력, 인내력..) 등을 통칭하여 'indriya paṭicca'라고 한다.
부처님께서는 듣는 사람의 근기(경험, 소질, 적성, 성향, 성격, 여러 가지 능력 등)와 그 사람이 처한 환경(처지, 상태)에 맞춰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상과 진리 그리고 팔정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시키시고 나서 팔정도 바와나(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의 구체적인 실천(실라-사마타-위빠사나)을 가르치셨다
이 말을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나의 근기(경험, 소질, 적성, 성향, 성격, 여러 가지 능력 등)에 따라서 그리고 내가 처한 환경(처지, 상태)에 따라서 부처님 가르침(경전 또는 경전의 내용) 중 어떤 것은 이해가 되기도 하고 어떤 것은 이해가 안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또한 내 근기가 좋게든 나쁘게든 변하기 때문에 어제 이해가 안 되던 것이 오늘은 이해가 되기도 하고, 또는 그 반대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부처님 가르침을 수시로 다시 읽고 공부해서 바른 이해를 점점 더 바르게 Update(갱신) 해야 하는 이유다.
.
--
초전법륜경에서부터 대반열반경에 이르기까지 부처님께서 제자들에게 설하신 가르침의 시작과 끝은 팔정도다.
꼰단냐를 비롯한 최초의 다섯 제자들에게 '정각(완전한 바른 깨달음)으로 가는 여덟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른 길'(팔정도)을 설하신 초전법륜의 사성제('고집멸도'성제) 가르침을 시작으로 마지막 제자인 수밧다에게 팔정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시며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팔정도 바와나)의 실천을 간곡히 당부하시는 마지막 가르침까지, 부처님께서 제자들에게 설하신 가르침의 시작과 끝은 팔정도다.
반열반(무여열반)을 앞두신 부처님께서는 당신께서 직접 팔정도와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수밧다에게 가르치실 시간이 없는 것을 안타까워 하시며 마지막 제자 수밧다에게 다음과 같이 간곡히 당부하셨다.
"수밧다여, 팔정도가 없으면 첫 번째 ~ 네 번째 사문(부처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는 자 또는 그런 사람들의 집단)도 없느니라. 수밧다여, 팔정도가 있으면 첫 번째 ~ 네 번째 사문(사부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도 있느니라"
"수밧다여, 부디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바르게 실천하는 사람들(또는 그런 사람들의 집단; 사문)과 함께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바르게 배우고 바르게 실천하여라"
--
부처님께서 간곡히 당부하셨듯이, '팔정도'(정각으로 가는 여덟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른 길)와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바르게 배우고 바르게 실천하지 않는 사람과 집단은 '부처님의 사문(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불자; 또는 그런 사람들의 집단, 승가, 절, 사찰)'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누누이 강조하셨듯이 가르침을 지식으로만 공부하면 행복해지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바른 실천법(수행법)인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직접 바르게 실천하여 진정으로 지혜롭고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야 진정으로 행복한 사람이 됩니다.
.
이상이 부처님께서 설(설명)하신 '팔정도 바와나(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의 완성' 단계와 관련된 가르침(설법; 법을 설명함)을 오늘날의 용어를 함께 사용해서 우리말로 소상히 옮긴 것입니다.
.
- 다음 글 : 정각(正覺)에 이르는 바른 실천 [팔정도 바와나의 완성 단계] (B)
; 부처님의 성도(정각 이룸), 오도송, 그리고 유언
.
___________
사진(상) : 부처님의 성도(成道; 정각 이룸)
; 부처님께서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완성하셔서 정각을 이루시기 전후의 과정, 이른바 부처님의 성도(정각 이룸) 과정은 <삿짜까 숫따(Saccaka Sutta), M36;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의 36번째 경(M36)>에 기록되어 있다
사진(하) : 여덟 개의 바퀴살로 이루어진 법륜(法輪)
; 부처님께서는 팔정도를 계발하는 수행을 '여덟 개의 바퀴살로 이루어진 바퀴가 순환하며 구르는 것'에 비유하셨다. 훗날 여덟 개의 바퀴살로 이루어진 법륜(法輪; 법의 바퀴)은 불교(佛敎; 부처님 가르침)의 상징(symbol)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