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아는가? 내가 아는 ‘나’는 참 나인가?
나는 누구인가? 우리 부모의 자식? 어느 학교의 몇 학년 누구? 어느 도시에 살고 있는 000라는 이름의 남자? 혹은 여자? 대한민국의 국민? 태어난 지 몇 년이 된 사람? 그런 나는 왜 사는가? 살만한 가치가 있는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삶의 보람을 느끼는가? 바르게 산다는 것은 어떻게 사는 것인가?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행복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런 질문을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해 본 적이 있는가?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왜 사는가?' 라고 물어보면 참 재미있는 답이 나온다. “살기 위해서...?, 먹기 위해서...? 행복해지기 위해서...? 죽지 않기 위해서....?...” 누구의 대답이 옳을까?
“나는 누구인가?
내가 아는 나는 참인가?
남들이 말하는 나는 나의 전부인가?
나는 누구인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가?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같은 사람인가?
사람들 앞에서는 허세를 부리고, 과시하고, 자신에게 진실하지 못한, 유치한 나는 아닌가? 천박하고 치사하게 감정을 드러내고 살아가는 유치한 사람은 아닌가?“GOD라는 가수가 부른 ‘나는 누구인가’라는 노래 가사의 일부다.
나를 찾아가는 여정. 오늘은 관(觀)에 대해 공부해 보자.
‘觀’이란 ‘본다’는 뜻이다. 내가 본 나를 자아관(自我觀)이라고 한다. 내가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답을 인생관(人生觀)이라 하고 이렇게 세상을 자기 주관으로 본 상을 역사관, 종교관, 정치관, 여성관, 행복관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모든 관을 다른 말로 세계관(世界觀)이라고 한다. 내가 아는 나, 나의 부모가 알고 있는 나, 친구가 알고 있는 나. 나는 보는 사람에 따라 각각 다르게 보인다. 사람뿐만 아니다. 사물이나 현상 또한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시각에 따라 그렇고 가치관에 따라 그렇다. 자신의 생각과 가치로 보는 것은 주관(主觀)이라고 한다. 자아관은 주관적으로 보기 때문에 참 나와는 다른 모습이다. 그렇다면 객관화 된 나는 어떤 모습일까? 세상은 보는 사람에 따라, 가치관에 따라 세상이 다르게 보인다. 인간을 보는 눈은 인간관, 행복을 보는 눈은 행복관이다. 종교관, 세계관, 역사관이 모두 같을 수 없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 거울이란 나를 보기 위해 만든 것이다. 거울에 비추는 나는 나의 진실일까? 뱃속의 모습을 보기 위해 내시경이라는 게 생겼다. 멀리 있는 것을 보기 위해 망원경이 생기고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것을 보기 위해 현미경을 만들었다. 그런 문명의 이기(利器)로 물체의 본질을 볼 수 있는가? 참을 볼 수 있는가?
불교경전 중에는 반야심경(般若心經)이라는 경이 있다. 마음을 비춰주는 거울이라는 뜻이다. 반야심경은 마음만 비춰주는 현미경도 되고 망원경도 되고 내시경도 되고 세상만물을 비춰주는 거울이 되기도 한다. 반야심경은 불교의 대표적인 경전으로 600권이나 되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을 한자로 260자도 안되게 짧게 요약한 경이다. 이 거울에 비친 나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을까? 반야심경을 한번 들어볼까? 혹 내 모습을 알 수 있는지?
이 책에는 이런 얘기가 나온다. “여러분들은 신문을 보지요? 누가 봐요? 내가 본 것입니까? 아닙니다. 내가 본 것이 아니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KBS와 MBC 기자가 본 것을 보지요? 사실은 내가 본 것이 아닌데 자신이 본 것으로 착각하고 있습니다. 북한이나 팔레스타인에 관한 소식이 그래요. 주요 일간지나 방송사가 보도하는 팔레스타인소식은 대부분 유대인의 관점에서 봅니다. 일본교과서에도 김일성은 항일투쟁한 인물로 그려집니다.”(깨달음으로 읽는 반야심경)
<어른들이 바보예요>라는 책이 있다. 9세 아이가 한 말을 21세 남자가 받아쓴 책이다. 이 책에 이런 대화가 나온다. “아저씨 어른들은 왜 싸워요?”
“생각이 다르니까?”
"생각이 뭐예요?“
"관점이 달라서 싸우는 거야“
“관점이 다른데 왜 싸워요”
반야심경 중에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이라는 구절이 있다. 자재보살이 본다는 뜻이다. 해가 어디서 뜨나 – 산골에 사는가, 바다에 사는가에 따라 해가 뜨는 곳이 다르다. 내가 아는 것이 모두 진실인가? 주관적(主觀的)으로 보는가? 아니면 객관적(客觀的)으로 보는가에 따라 객체는 다른 모습이다. 나를 객관적으로 보는 안목. 주관이 아닌 객관적으로 보는게 성숙한 관점이다. 나는 세상을 객관적으로 보는가? 객관적으로 본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남의 눈으로 본 신문, 남이 만든 지식, 남이 만들어 준 음식, 남이 만든 문명의 이기로 살아가고 있다. 사람이라고 똑 같은 사람이 아니다. 아무 생각도 없이 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사람답게 보람 있게 살기 위해 회의(懷疑)하고 궁구(窮究)하고 고민하며 사는 사람도 있다. 맛있는 것을 먹고 즐기고 나만 좋은면, 내게 이익만 된다면... 그렇게 사는 사람도 있다. 내가 남의 은혜로 살고 있으니 빚을 지고 있는 것이다(부채의식). 역사에 진 빚, 조상과 이웃에 진 빚(역사의식) 없이 사는 사람이 있을까? 내가 누군지, 먹기 위해 사는지, 살기 위해 먹는지, 사람답게 사는 게 무엇인지 모르고 산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출처 : 한겨레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