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띠의 각성, 집중, 확장
한 가지 집중대상에 대한 정념(正念; 삼마 사띠, 바른 알아차림) 수행(달리 표현하면 사띠 촛점 확립 수행)을 통해서 정정(正定; 삼마 사마디, 바른 선정 또는 삼매)을 닦는 수행이 깊어지면, 고요집중의 사띠(마음챙겨 알아차림) 능력이 활성화(각성) 되면서 사띠의 집중력과 정밀도가 극대화된다.
사띠가 극도로 각성, 집중, 확장되면 몸(물질작용; 사대 작용)과 마음(정신작용; '수상행식' 작용)의 매 순간 생멸 변화를 따라잡아 직접 경험으로 바르게 관찰(정견正見; 삼마 딧티)할 수 있다.
자동차 사고와 익사 사고를 당했던 개인적 경험을 예로 들면, 자동차 사고가 나는 그 짧은 순간에 마치 시간이 쭈~우~욱 늘어나는 것처럼 사고의 각 장면이 슬로우 모션으로 명확하게 관찰되는 경험을 한 적이 두 번 있다. 또 초등학교 3학년 여름방학 때 한강에 빠져서 죽을 뻔한 경험이 있는데, 물에 빠져서 호흡이 안 되는 고통스러운 순간이 잠시 지나고 나면, 물에 빠진 상태에서 의식이 또렷해지면서 그 때까지 살아온 전 생애에 대한 기억이 느리게 돌아가는 무성영화의 장면처럼 슬로우 모션으로 천천히 지나간다. 물리적인 시간은 불과 몇 분(minutes)에 불과 할지 모르지만, 그 시간이 쭈~우~욱 늘어난 것처럼 그 회상의 시간이 몇 시간(hours)이 되는 것처럼 굉장히 길고, 회상 장면들이 상세하고 명확하게 관찰된다. 들은 얘기로는 야구 선수가 관찰(또는 사띠)의 집중 능력을 키우는 훈련(수련)을 하면, 타석에서 공의 움직임이 슬로우 모션으로 느리게 보이면서 야구공이 수박만큼 크게 보이기도 하고 움직이는 공이 실밥까지 또렷하게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모두 그 순간에 사띠(마음챙겨 알아차림) 능력이 어느 정도나마 각성, 집중, 확장되면서 생기는 경험이다.
영화관에서 영화 필름의 영상이 빠르게 생멸(명멸)하면서 흘러가면 필름의 개개의 정지 영상이 하나로 연결된 것처럼 보여서, 또는 생(生)하는 것만 인식되고 멸(滅)하는 것은 인식이 안돼서, 그 개개의 정지 영상이 만들어내는 영화 속 인물이 매 순간 생멸 없이 연속해서 실제로 움직이며 존재한다고 잠시나마 착각하여 울고 웃는 것처럼, 몸(물질작용; 사대 작용)과 마음(정신작용; '수상행식' 작용)의 매 순간 생멸 변화의 흐름이 너무나도 빨라서, 또는 생(生)하는 것만 인식되고 멸(滅)하는 것은 인식이 안돼서, 매 순간 생멸 없이 하나로 연결된 것처럼 느껴지고, '나'는 항상 동일한 존재(실체, 주체)라고 착각한다.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 조금 전의 나와 현재의 나는 항상 똑같은 동일한 존재라고 착각한다)
남미의 어떤 야외극장은 영화 스크린을 두꺼운 강철 벽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관객들이 영화 속 인물에게 총을 쏘기 때문이란다. 만약 관객들이 빠르게 생멸(명멸)하며 흘러가는 개개의 정지 영상을 인식한다면 그 영화 속 인물이 하나의 실체로서 움직이며 존재한다는 착각의 실감은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매 순간 생멸 변화 없이 항상 동일한 것으로 존재한다’고 착각하는 마음을 사람들은 ‘혼(魂), 영혼, 아트만(Atman 또는 Atta; 我), 자아(自我), 우주아(宇宙我), 대아(大我), 생명의 근원, 진아(眞我)’ 따위로 이름(명칭, 개념) 짓고 부른다.
사람들은 몸과 마음으로 구성된 '나'라는 어떤 ‘동일한 주체나 실체’가 한시적이든 영구적이든 존재한다고 착각하여 그것에 애착하고 집착한다. 그리고 그러한 착각과 애착, 집착으로부터 그들의 인생에 온갖 번뇌와 괴로움이 근원적으로 생겨난다.
해탈(모든 괴로움과 속박으로부터의 완전한 자유, 해방, 벗어남) 여부는 ‘자아의식, 자아식(自我識), 스스로(自) 동일한 실체(주체, 我)라고 착각하는 식(識; 의식 + 무의식/잠재의식/심층의식/아뢰야식/바왕가)' 또는 ‘나(我)는 고정불변(늘 동일)하고 독립(독자)적인 존재(실체, 주체)라는 고정관념(고정개념, 또는 식識; 의식+무의식)'을 완전히 버릴 수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 있다.
예컨대 ‘붓다의 가르침, 불법(佛法), 불교(佛敎)’를 바르게 공부한 사람이라면 ‘나(我)라는 실체가 없다'(무아無我) 또는 '나는 고정불변(늘 동일)하고 독립(독자)적인 존재(실체, 주체; Atta, Atman)가 아니다(an)'[아낫따(an·Atta), an·Atman]라는 사실(실상)을 당연한 논리로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아직 지식(또는 지식차원의 이해)일 뿐이다. 붓다의 가르침(설법; 법法을 설명함)을 바르게 공부하여 바른 지식을 갖게 되었지만 체험, 체득, 증득은 아직 별개의 얘기다.
아니짜[a·nicca, 무상(無常); 매 순간 생멸하며 변함], 아낫따[an·atta, 무아(無我); 실체 아님, 실체 없음]을 수행 실천의 직접 경험으로 체험해야 한다. 무상(無常, a·nicca)을 직접 체험하지 못하면 무아(無我, an·atta)를 완전히 깨닫지 못한다. 무아를 완전히 깨달으면 모든 번뇌와 집착이 완전히 소멸되고 생사(인과연기적인 생멸 순환의 연기세계)를 초월하여 완전한 자유(해탈)와 평화, 나(我)를 초월한 분별 집착 없는 완전히 지혜로운 바른 사랑(자비)과 완전한 행복(열반)의 경지(상태)를 증득(증명경험으로 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