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DDHISM/담마코리아_고엔카지

고엔카 수행법과 대념처경 5


Ⅴ. 결 론 


지금까지 고엔카 수행법의 여러 측면들을 살펴보았고, 또한 이 수행법과 『대념처경』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재 인도를 중심으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고엔카 수행법은 남방 상좌불교의 수행전통 중에서 미얀마의 레디 사야도 계통의 수행법을 따르고 있으나, 현재 그는 자신이 가르치는 위빠사나 수행을 ‘우바킨 전통의 수행’이라고 한다. 

고엔카 수행법의 주 관찰 대상은 vedana인데, 접촉(phassa)이 있을 때마다 6근에서 일어나는 여러 느낌 중에서 특히 몸에서 일어나는 느낌, 즉 몸의 감각을 관찰한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감각을 관찰하여 苦의 원인인 욕망을 일으키지 않고, 그래서 苦를 벗어나 열반에 이르고자 하는 고엔카 수행법의 교리적 이론적 근거는 12연기에서 찾을 수 있다. 

고엔카 수행센터에서의 수행은 10일 코스가 기본인데, 세 가지 수행법으로 구성되었다. 계율을 바탕으로 호흡에 대한 알아차림 수행인 입출식념을 선정수행으로 닦고, 감각을 관찰하는 수념처를 지혜(위빠사나) 수행으로 닦아 초기불교의 계.정.혜 3학이라는 수행체계를 잘 따르고 있다. 

고엔카 수행법이 실제 수행에서 적용하고 있는 『대념처경』의 수행이론은 신념처의 입출식념과 수념처이다. 입출식념에서 고엔카의 해석과 수행법이 주석서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해석과 얼마간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으나, ‘대념처경’의 수행이론과 큰 차이는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수념처 수행에 있어서 고엔카 수행법과 『대념처경』의 수행법이 방법상 동일하다고 하기에는 주저되는 점이 있다. 왜냐하면 『대념처경』의 수행법은 아주 간략하게 소개되었으나, 고엔카의 수행법은 어느 특정한 느낌이나 감각이 일어났을 때만 그것을 알아차리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순간 끊임없이 머리에서부터 발가락까지 온 몸 전체를 돌면서 지속적으로 몸의 감각을 훑어내리는 세밀한 관찰방법을 쓰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신적인 느낌이든 신체의 감각이든, vedanā를 관찰하여 무상(anicca)을 체득하는 수행이라는 점에서 『대념처경』의 수행법과 수행원리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대념처경』에는 ‘바르게 알다, 이해하다’ 라는 의미의 동사 pajānāti가 무려 126번이나 쓰였다. 이것으로 볼 때, 붓다가 직계 제자들에게 고구정령하게 가르쳤던 초기불교 수행법은 자신의 몸과 마음(신수심법)을 있는 그대로 바르게 알아차리는 ‘pajānāti 수행’이다. 이 pajānāti 수행을 통해서 마음챙김sati이 확립(u)paṭṭhāna 되면 칠각지가 일어나고, 그래서 사성제를 깨닫게 되는 것이 『대념처경』 의 수행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고엔카 수행법을 이 『대념처경』과 비교해 볼 때, 경전의 해석과 수행법에 약간의 변용은 보일지라도, 『대념처경』의 수행이론을 따르고 있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21세기 현재,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수행하고 있는 고엔카 수행법은 붓다가 제시했던 계.정.혜 삼학의 수행이며, 8정도, 7청정, 37 조도품의 수행이다. 이러한 수행을 통해서 수행자는 불교도의 최종 목적지인 열반, 해탈,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가르침이 바로 붓다가 45년간 설하신 法(dhamma)의 핵심이다. 



<참고문헌> 

PTS Pāli Texts의 약어는 Critical Pāli Dictionary(CPD) Vol.Ⅰ의 약어(Abbreviation) 기준을 따랐다. 
Ahir, D. C. (1999) Vipassanā,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Ba Khin, U. (1981) The Essentials of Buddha Dhamma in Meditative Practice, Kandy, BPS. 
Bodhi, Bhikkhu (1993)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Kandy, BPS. 
(1995)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 A New Trans. of Majjhima Nikāya; original translation by bhikkhu Nānamoli, 1960 ; Kandy, BPS. 
(2000)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 A New Trans. of the Saṃyutta Nikāya, Vol Ⅱ, Boston, Wisdom Publication. 
Daing, U Than (1995) Cittānupassanā and Vedanānupassanā, 2nd edition, Yangon, U Aung Chi. 
Goenka, S. N. (1995) The Discourse Summaries, Reprint, Igatpuri, VRI. 
(1999) Discourses on Satipaṭṭhāna Sutta, Igatpuri, VRI. 
Gunaratna, V. F. (1981) The Satipatthana Sutta and its Application to Modern Life, Kandy, BPS. 
Konfield, Jack (1988) Living Buddhist Masters, 1st BPS edition, Kandy, BPS. 
Hart, William (1995) The Art of Living, Reprint, Igatpuri, VRI. 
Ledii Sayadaw (1983) The Requisites of Enlightenment (Bodhipakkhiya Dīpanī) Kandy, BPS. 
(1986) The Manual of Insight (Vipassanā Dīpanī), 2nd BPS Edition, Kandy, BPS 
(1999a) Manual of Mindfulness of Breathing (Ānāpāna Dīpanī), Kandy, BPS. 
(1999b) The Manual of Dhamma, Igatpuri, VRI. 
Nanamoli (1982) Mindfulness of Breathing (Ānāpānasati), 5th edition, Kandy BPS. 
Nyanaponika (1983) Contemplation of Feeling, Kandy BPS. 
(1996) The Heart of Buddhist Meditation, Reprint, Kandy, BPS. 
Nyanasatta (1993) The Foundation of Mindfulness, 5th impression, Kandy, BPS. 
Soma Thera (1981) The Way of Mindfulness, 5th revised edition, Kandy, BPS. 
VRI (Vipassana Research Institute) (1994) Sayagyi U Ba Khin Journal, 2nd edition, Igatpuri, VRI. (1993) Mahāsatipaṭṭhāna Suttam (trans.), Igatpuri, VRI. 
Vajiiranana Mahathera (1975) Buddhist Meditation in Theory and Practice, 2nd edition, Kuala Lumpur, PBMS. 
Walshe, Maurice (1987) Thus have I Heard ; A New Translation of the Dīgha Nikāya, London, 
Wisdom Publications. 
규혜스님 (1996)『염수경』-상응부 느낌 편-, 서울, 고요한 소리. 
김열권 (2002)『위빠사나 Ⅱ』, 서울, 불광출판부. 
김열권 (1997)『위빠사나 열두선사』, 서울, 불광출판부. 
김재성 (1997)「미얀마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세계 승가공동체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서울, 圖書出版 伽山文庫. 
김재성 (1998)『위빠사나 입문』, 서울, 길상사. 
김재성 (2002)「염처경에 나타난 수행법」,『한국불교학결집대회논집』, 제1집 下卷. 
미산스님 (2002) 「남방상좌불교의 심식설과 수행계위」,『한국불교학결집대회논집』, 제1집 下卷. 
인경스님 (1998)『단지 바라보기만 하라』, 서울, 경서원. 
임승택 (2002)「마음지킴(sati)의 차제적 성격에 관한 일고찰」,『한국불교학결집대회논집』, 제1집 下卷. 
일중 (1997)「스리랑카 승가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조사연구」,『세계 승가공동체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서울, 도서출판 가산문고 


맨 위로 맨 아래로